멕시코 제약사와 공급 계약
CJ헬스케어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으로 개발한 '케이캡정'의 모습으로, 멕시코 등 중남미 17개 국가에 수출된다.  CJ헬스케어 제공
CJ헬스케어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으로 개발한 '케이캡정'의 모습으로, 멕시코 등 중남미 17개 국가에 수출된다. CJ헬스케어 제공
CJ헬스케어가 개발한 신약이 중국과 베트남 등 아시아 시장을 넘어 중남미 시장으로 수출 전선을 확장한다.

13일 CJ헬스케어는 멕시코 제약사인 카르놋사 등 중남미 17개 국가에 자체 개발한 위식도역류질환 신약인 '케이캡정' 공급을 위한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8400만달러에 달한다.

케이캡정은 '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차단제(P-CAB)'라는 새로운 작용기전으로 국내 최초로 허가 승인을 받은 '30호 신약'으로, 위식도역류질환에 주로 처방돼 오던 기존 PPI 계열 제품에 비해 빠른 약효 발현과 야간 위산 과다분비 차단 등의 장점을 통해 시장에서 차세대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CJ헬스케어는 이번 중남미 수출계약으로 멕시코 카르놋에 계약금과 국가별 기술료, 순매출에 따른 로열티 등을 포함해 10년 동안 약 8400만 달러(한화 약 1008억원) 규모의 케이캡정을 공급하게 된다. 카르놋사는 멕시코를 필두로 2022년부터 중남미 17개 국가에 케이캡정을 순차적으로 출시할 예정이다. 카로놋사는 멕시코에서 소화기 의약품 시장 점유율 1위 제약 기업으로, 브라질과 아르헨티나, 콜롬비아 등 중남미 전역에 자회사와 지사를 보유하고 있다.

앞서 CJ헬스케어는 2015년 중국 뤄신사에 약 9529만 달러(한화 약 1143억원) 규모의 기술 수출을 성사한데 이어 지난해에는 베트남 비메디멕스사와 기술수출 계약을 맺고 아시아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조만간 국내시장에 출시될 예정인 케이캡정은 앞으로 국내는 물론 중국, 베트남, 멕시코 등 전 세계 20개국에 수출돼 글로벌 신약으로 도약하는 기반을 마련하게 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강석희 CJ헬스케어 대표는 "이번 수출계약으로 아시아 시장을 넘어 중남미에 국산 신약의 우수성을 알리게 됐다"며 "앞으로 해외 시장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글로벌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블록버스터 제품으로 키워 나가겠다"고 말했다.

사브아르 멕시코 카르놋 사 대표는 "케이캡정은 다수의 임상시험을 통해 효능과 안전성이 입증된 신약인 만큼 CJ헬스케어와 라이선스 계약으로 중남미 소화기의약품 시장에서 입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BMI 리서치에 따르면 중남미 의약품 시장 규모는 브라질이 199억 달러에 달해 가장 크고, 멕시코(97억9000만 달러), 아르헨티나(54억2000만 달러), 칠레(35억2000만 달러), 콜롬비아(31억4000만 달러) 등의 순으로 매년 전체 시장규모가 꾸준히 성장하는 '이머징 마켓'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전=이준기기자 bongchu@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