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 제공
방송통신위원회 제공
인터넷이용자의 32.8%가 사이버폭력 가해 또는 피해를 경험한 것으로 조사됐다.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28일 2018년 사이버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그 결과 사이버폭력 경험률은 32.8%로 인터넷이용자 10명 중 3명은 사이버폭력 가해(21.6%) 또는 피해(24.7%)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이버폭력 경험이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학생이 29.5%, 성인이 43.1%로 지난 2017년 대비 학생 4.7%p, 성인 13.3%p가 증가했다. 학생의 경우 중학생이, 성인의 경우는 20대가 사이버폭력 경험이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직전해인 2017년 26.0%에 비해 6.8%p 증가한 수치다. 응답자 중 학생 53.1%, 성인 34%가 가해행동 공간으로 '채팅, 메신저'를 꼽아 가장 많은 사이버폭력 가해가 일어나는 공간으로 지목됐다. 피해를 경험한 공간 역시 가해 경험 공간과 유사하지만, 성인의 경우 '이메일, 문자 메시지'를 통한 피해경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과 성인의 가해와 피해 경험 모두에서 '언어폭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생의 경우, 언어폭력(가해경험 19.3%, 피해경험 18.7%)을 제외한 유형의 경험은 5% 내외인 반면 성인은 언어폭력 외의 유형에 대한 가해 또는 피해 경험이 10%대에서 많게는 20%대로 집계돼 상대적으로 더 다양한 유형의 사이버폭력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해 이유는 학생 43.1%와 성인 30.4%가 '상대방이 먼저 그런 행동을 해서'라고 답했고, 학생 35.7%와 성인 31.2%는 '상대방에게 화가 나서'를 사이버폭력의 이유로 꼽았다. 가해 후 심리에 대해서는 학생 53.2%와 성인 53.6%가 '미안하고 후회스러움', 학생 48.9%와 성인 54.1%가 '문제가 생길까 걱정이 된다'고 답했다. 방통위 측은 "가해 행동에 대한 문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이버폭력 예방 및 올바른 인터넷 이용 교육을 통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방통위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청소년은 물론 성인 대상 교육도 강화하는 한편 건전한 인터넷 이용문화 조성과 사이버폭력 예방을 위한 콘텐츠 개발 및 교육 홍보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조사결과는 방송통신위원회 홈페이지와 한국정보화진흥원 '아름다운 인터넷 세상'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방통위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지난해 10월2일부터 11월23일까지 학생, 일반성인, 교사, 학부모 총 7562명을 대상으로 사이버폭력 가해 및 피해 경험에 대해 8개(언어폭력, 명예훼손, 스토킹, 성폭력, 신상정보유출, 따돌림, 갈취, 강요) 유형별로 구분해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김위수기자 withsuu@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