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김양혁 기자] 현대모비스가 운전자 개입 없이 주행할 수 있는 기술을 적용한 자율주행차를 최초 공개했다. 여기에는 현대모비스의 자율주행 센서 기술이 한 데 모여 있을 뿐 아니라, 램프로 다른 차량이나 보행자와 소통하는 첨단 기술도 담겼다.

현대모비스는 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소비자가전쇼(CES) 2019에서 미래 도심 자율주행 콘셉트 엠비전(M.VISION)을 공개했다. 이는 현대모비스가 현재 세계에서 시험 운행 중인 자율주행 시험차 엠빌리(M.BILLY)의 향상된 버전이다. '비전'이라는 이름은 미래차 시장을 선도할 수 있다는 포부를 담았다.

현대모비스는 엠빌리로 미래차 시대 핵심 트렌드로 꼽히는 연결(Connectivity), 자율주행(Autonomous), 공유(Sharing), 전동화(electrification) 등 이른바 '케이스(CASE)'를 녹여냄과 동시에 최근 대두한 자율주행차의 안전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안전성을 대폭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본다.

우선 엠비전은 미국자동차공학회(SAE) 기준 레벨 4에 해당하는 기술을 적용했다. SAE는 0부터 5단계까지 6단계로 자율주행 레벨을 분류한다. 레벨 4는 특정 도로 환경에서 운전자 개입이 필요 없는 자율주행을 의미한다.

엠비전의 자율주행은 라이다 센서 4개와 다기능 카메라 센서 5개로 구성된 자율주행 키트를 기반으로 한다. 이는 차량 지붕에 얹는 방식으로 적용된다. 이에 따라 차량 크기나 디자인과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고, 설계 원가 절감 효과도 크다는 게 현대모비스의 설명이다. 여기에 차량 하단부에 레이더 센서 5개, 초음파 센서 12개도 추가 장착했다.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 독자 센서를 2020년까지 모두 개발한다는 전략 아래 연구개발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장재호 현대모비스 전무는 "그동안 주력해 온 센서기술과 미래차 램프 기술을 융합해 구체화한 자율주행 콘셉트로, 기술경쟁력과 동시에 회사의 연구개발 방향성을 담았다"며 "엠비전에 구현한 다양한 미래차 신기술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엠비전은 자율주행 외 램프로 외부와 소통하는 신개념 기술도 담았다. 차량 전후좌우에 적용한 램프로 주변 차량이나 보행자와 직관적으로 소통할 수 있게 했다. 야간 주행 시 노면을 밝히는 대표적 안전부품인 램프를 차량과 외부를 연결해 주는 매개체로 활용한 것이다.

미르코 고에츠 현대모비스 이사는 "기존 정형화한 램프 제품의 성능을 높이는 데 집중했다면 미래 자율주행 시대에는 빛을 활용해 외부와 소통하는 방식을 고민하는 것으로 개념이 확장되고 있다"며 "이번 콘셉트에 구현한 다양한 램프 기술을 2021년 상반기까지 모두 확보해 미래차 램프 시장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끄는 리더로서 자리를 공고히 할 것"이라고 말했다.라스베이거스(미국)=김양혁기자 mj@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