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예진수 선임기자] 김현석 삼성전자 CE부문 대표이사 사장은 "우리 에코시스템에 많은 파크너가 조인하고 있어 '빅스비'가 플랫폼으로서 굉장히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아리아호텔에서 가진 가전·IT박람회 'CES 2019' 기자간담회에서 "아마존이나 구글의 AI와 협력하면 삼성 AI 빅스비의 영향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하는데 그건 오해"라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사장은 "창립 50주년을 맞은 삼성전자가 초일류 100년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새로운 각오로 임하고 있다"며 "지난 50년보다 앞으로의 5년이 전자 업계를 크게 바꿀 수 있는 해가 될 것이다. 우리는 삼성 제품을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앞으로 50년, 100년을 성공적으로 사업할 수 있는 역사가 비롯되길 희망한다"고 비전을 제시했다.

김 사장은 AI 기술·파트너들과의 협업은 8K 시장을 성장시키는 촉진제가 될 것이라면서 AI 비전에 강한 자신감을 표출했다. 김 사장은 "이번 CES에서 크게 화두가 된 것이 삼성전자가 애플의 아이튠즈와 에어플레이 TV와 협력한 것"이라며 "이 역시 에코시스템의 확대라고 이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2년 전에 나온 빅스비와 비교하면 플랫폼이 상당히 발전했다"며 "삼성전자 에코시스템과 협력사 에코시스템이 합해져 더 커다란 에코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고 시너지 효과를 강조했다. 그는 이번 CES 2019 트렌드에 대해 "핵심은 AI"라며 "커넥티비티와 5G도 근본적으로 AI에서 시작됐으며 '8K TV'도 AI 기술 없었으면 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사장은 많은 회사가 CES에 들고 나올 8K TV에 대해 "하나의 정보를 갖고 존재하지 않는 16개 정보를 만들어가는 건데, 16개가 의미 있는 화질이 되려면 AI가 없이는 불가능하다"며 "결국 화질엔진(퀀텀프로세서 8K)의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그는 "마이크로 LED도 기본이 모듈이며, 여러 가지 모듈을 합쳐 사이즈를 키우고 화소를 바꾸는 일을 하는데 이 또한 AI가 없으면 가능하지 않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어떤 회사도 모든 분야에 잘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또한 "빅스비가 비록 늦게 출발했고 약한 부분이 있지만, 삼성전자만큼 디바이스를 생산해서 판매하는 회사는 전 세계에 없다는 것이 우리의 가장 큰 강점이고 구글, 아마존은 또 그들이 강한 부분을 개발한다"며 글로벌 IT업체들이 삼성과의 협업에 앞을 다투는 이유를 설명했다.

김 사장은 올해 실적 전망에 대해 "하반기부터 좋아질 것이며, 빠르게 희망적으로 바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안에 몇 개 로봇 제품을 상품화해 내놓는 것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7일 공개한 (의료용 웨어러블 등의) 로봇 제품이 언제 상품화될지는 지금 말하기 어렵고 오히려 오늘 공개하지 않은 제품이 오히려 먼저 상품화될 것"이라고 했다. 또한 "우리 사회가 고령화되기 때문에 로봇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헬스케어 로봇의 중심도 역시 AI"라고 강조했다. 라스베이거스(미국)=예진수선임기자 jinye@dt.co.kr

김현석 삼성전자 CE부문 대표이사 사장이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아리아호텔에서 가진 'CES 2019' 기자간담회에서 초대형 스크린 시대를 주도할 8K TV 시장을 확대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김현석 삼성전자 CE부문 대표이사 사장이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아리아호텔에서 가진 'CES 2019' 기자간담회에서 초대형 스크린 시대를 주도할 8K TV 시장을 확대하겠다고 말하고 있다. <삼성전자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