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회사들은 상품을 팔 때만 친절합니다.", "금융사를 금융당국이 강하게 제재해야 합니다."
우리 금융소비자들의 생각이다.
금융위원회는 9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금융소비자 보호 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한국갤럽이 성인 2194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금융위는 금융소비자 보호에 대한 국민의 만족도가 낮다고 분석했다. 우선 금융사의 형태에 대한 반감이 상당했다.
상품을 팔 때 '직원들의 태도가 친절하다'는 응답이 79.1%, '고객 상황에 적합한 상품을 제시한다'는 답변은 51.0%로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상품판매 후에 고객에 신경 쓰지 않는다'는 응답이 73.9%, 사고나 피해 발생 시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는다'는 답은 73.2%나 됐다. 금융회사 광고가 사실을 왜곡하거나 과장했다는 응답은 60.7%, 금융서비스나 상품을 이용하면서 불만족·불합리한 처우를 받은 적이 있다는 경험은 30.4%에 달했다. 금융소비자들은 금융상품을 제대로 선택하고자 '알기 쉬운 약관·상품설명서'(66.4%)의 필요성을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금융소비자단체는 금융사와 분쟁 해결을 지원하고(49.5%) 금융회사를 견제해야 한다(48.7%)는 의견이 많았다.
금융당국의 역할을 주문하는 의견도 많았다.
응답자 43.9%는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금융당국의 노력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금융당국과 금융회사, 보호 인프라, 소비자 본인 중 소비자 보호를 위해 누구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냐는 질문에 43.5%가 금융당국을 지목했다.
정부가 힘써야 할 업무에 '강력한 제재'라고 답한 비율이 37.4%가 됐다.
차현정기자 hjcha@
우리 금융소비자들의 생각이다.
금융위원회는 9일 이런 내용 등을 담은 금융소비자 보호 국민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한국갤럽이 성인 2194명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금융위는 금융소비자 보호에 대한 국민의 만족도가 낮다고 분석했다. 우선 금융사의 형태에 대한 반감이 상당했다.
상품을 팔 때 '직원들의 태도가 친절하다'는 응답이 79.1%, '고객 상황에 적합한 상품을 제시한다'는 답변은 51.0%로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상품판매 후에 고객에 신경 쓰지 않는다'는 응답이 73.9%, 사고나 피해 발생 시 책임을 지려고 하지 않는다'는 답은 73.2%나 됐다. 금융회사 광고가 사실을 왜곡하거나 과장했다는 응답은 60.7%, 금융서비스나 상품을 이용하면서 불만족·불합리한 처우를 받은 적이 있다는 경험은 30.4%에 달했다. 금융소비자들은 금융상품을 제대로 선택하고자 '알기 쉬운 약관·상품설명서'(66.4%)의 필요성을 집중적으로 제기했다.
금융소비자단체는 금융사와 분쟁 해결을 지원하고(49.5%) 금융회사를 견제해야 한다(48.7%)는 의견이 많았다.
금융당국의 역할을 주문하는 의견도 많았다.
응답자 43.9%는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금융당국의 노력에 만족하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금융당국과 금융회사, 보호 인프라, 소비자 본인 중 소비자 보호를 위해 누구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냐는 질문에 43.5%가 금융당국을 지목했다.
정부가 힘써야 할 업무에 '강력한 제재'라고 답한 비율이 37.4%가 됐다.
차현정기자 hjcha@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