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리금 보장형 상품만 주로 선택하는 퇴직연금 가입자에 실질 수익률을 보여주자 고수익이 기대되는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7일 발표한 '퇴직연금 가입자의 상품 운용 행태 개선을 위한 행태경제학적 연구결과'에서다.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 퇴직연금 적립금은 지난해 9월 말 현재 172조1000억원으로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운용 수익률은 1%대에 불과했다. 2017년 기준 연 1.88%로 DC(확정기여)형 퇴직연금 가입자 대부분(91.4%)이 운용지시를 변경하지 않는 등 상품운용에 소홀한 결과다.
금감원은 이 같은 행태를 개선하기 위해 외부 교수진과 공동으로 행태경제학을 퇴직연금 정책에 도입하는 방안을 연구했다. 한국 갤럽을 통해 선정한 총 630명의 DC형 퇴직연금 실제 가입자를 대상으로 △퇴직연금 교육 △수익률 표준편차 제시 △실질 수익률 제시와 함께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으면 중위험·중수익 상품이 자동으로 선택되는 경우를 적용해 실험을 했다.
그 결과 퇴직연금 교육을 했을 때와 수익률 표준편차를 보여줄 때는 퇴직연금 상품 선택에 큰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명목 수익률이 아닌 물가상승률과 수수료 비용을 고려한 실질 수익률을 보여줄 경우 이전보다 고수익 상품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자동으로 구성되는 포트폴리오에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 구성된 상품을 넣을 경우 운용에 무관심해 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금감원은 이 실험결과를 반영해 올해 1분기 중 도입될 '퇴직연금 상품 제안서 표준서식'에 상품별 실질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도록 물가상승률을 참고 지표로 함께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또 고금리 상품 순으로 배열하고 총수수료액도 추가로 기재하기로 했다. 처음부터 중위험·중수익 상품이 선택되도록 하는 것은 손실 발생 시 책임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이번 정책에 반영하지 않았다.
신원 금융감독연구센터 선임국장은 "행태경제학적 접근법을 통한 연구결과를 감독정책에 반영했다. 앞으로도 다양한 행태경제학적 연구 주제를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차현정기자 hjcha@dt.co.kr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 퇴직연금 적립금은 지난해 9월 말 현재 172조1000억원으로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다. 운용 수익률은 1%대에 불과했다. 2017년 기준 연 1.88%로 DC(확정기여)형 퇴직연금 가입자 대부분(91.4%)이 운용지시를 변경하지 않는 등 상품운용에 소홀한 결과다.
금감원은 이 같은 행태를 개선하기 위해 외부 교수진과 공동으로 행태경제학을 퇴직연금 정책에 도입하는 방안을 연구했다. 한국 갤럽을 통해 선정한 총 630명의 DC형 퇴직연금 실제 가입자를 대상으로 △퇴직연금 교육 △수익률 표준편차 제시 △실질 수익률 제시와 함께 △아무것도 선택하지 않으면 중위험·중수익 상품이 자동으로 선택되는 경우를 적용해 실험을 했다.
그 결과 퇴직연금 교육을 했을 때와 수익률 표준편차를 보여줄 때는 퇴직연금 상품 선택에 큰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명목 수익률이 아닌 물가상승률과 수수료 비용을 고려한 실질 수익률을 보여줄 경우 이전보다 고수익 상품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했다. 자동으로 구성되는 포트폴리오에 중위험·중수익 상품으로 구성된 상품을 넣을 경우 운용에 무관심해 이를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가 많았다.
금감원은 이 실험결과를 반영해 올해 1분기 중 도입될 '퇴직연금 상품 제안서 표준서식'에 상품별 실질 수익률을 계산할 수 있도록 물가상승률을 참고 지표로 함께 제시한다는 방침이다. 또 고금리 상품 순으로 배열하고 총수수료액도 추가로 기재하기로 했다. 처음부터 중위험·중수익 상품이 선택되도록 하는 것은 손실 발생 시 책임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이번 정책에 반영하지 않았다.
신원 금융감독연구센터 선임국장은 "행태경제학적 접근법을 통한 연구결과를 감독정책에 반영했다. 앞으로도 다양한 행태경제학적 연구 주제를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차현정기자 hjcha@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