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의 조합원 수가 지난해 1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노총)의 조합원 수도 90만 명에 근접해 양대 노총의 조합원이 200만 명에 육박하게 됐다. 특히 민노총의 조합원 수 증가가 가파르다. 작년 1월 민노총은 공식적으로 조합원이 78만6563명이라고 밝혔었다. 1년 새 15% 이상 몸집을 불린 것이다. 양 노총은 각각 올해 200만명 조합원 확보를 목표로 내걸고 있다.
문재인 정부 들어 노조의 몸집 불리기는 예견된 것이었다. 문 정부가 비정규직 정규직화와 최저임금 급속 인상 및 근로시간 단축을 비롯한 소득주도성장 정책, 법외노조인 전교조에 우호적 정책 등을 추진하면서 노조가 성장할 토양을 제공해왔기 때문이다. 심지어 민노총은 촛불시위의 중심세력으로서 현 정권에 일정 지분이 있다는 채권의식마저 갖고 있다. 양대 노총의 성장은 다분히 현 정부의 친노동정책에 힘입은 것이다. 자본주의 체제에서 자본가 및 경영자를 대상으로 노동자들이 권익을 지키기 위해 노동조합을 결성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럽고 바람직하다. 그러나 합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이뤄져야 한다. 문 정부 들어서 노조의 주장과 그 주장의 관철 방법은 국민의 상식선에서 크게 벗어났다. 민노총은 기업 임원을 감금하고 폭행한 사건에서부터 여당 원내대표 사무실 점거와 대검찰청 불법 침입 시위 등을 잇따라 벌였다.
정치투쟁을 전면에 내세우는 것도 문제다. 민노총은 신년사에서도 "사회의 민주적 개혁을 통해 전체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함과 더불어 조국의 자주, 민주, 통일을 앞당기기 위해 가열찬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는 분명히 노조의 역할을 벗어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민노총은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는 참여를 않고 있다. 한국노총과 민노총은 정치투쟁에 매달리지 말고 본연의 노동자단체로 돌아가야 한다. 몸집이 커진 만큼 그에 비례한 책임의식을 갖길 바란다.
문재인 정부 들어 노조의 몸집 불리기는 예견된 것이었다. 문 정부가 비정규직 정규직화와 최저임금 급속 인상 및 근로시간 단축을 비롯한 소득주도성장 정책, 법외노조인 전교조에 우호적 정책 등을 추진하면서 노조가 성장할 토양을 제공해왔기 때문이다. 심지어 민노총은 촛불시위의 중심세력으로서 현 정권에 일정 지분이 있다는 채권의식마저 갖고 있다. 양대 노총의 성장은 다분히 현 정부의 친노동정책에 힘입은 것이다. 자본주의 체제에서 자본가 및 경영자를 대상으로 노동자들이 권익을 지키기 위해 노동조합을 결성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럽고 바람직하다. 그러나 합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이뤄져야 한다. 문 정부 들어서 노조의 주장과 그 주장의 관철 방법은 국민의 상식선에서 크게 벗어났다. 민노총은 기업 임원을 감금하고 폭행한 사건에서부터 여당 원내대표 사무실 점거와 대검찰청 불법 침입 시위 등을 잇따라 벌였다.
정치투쟁을 전면에 내세우는 것도 문제다. 민노총은 신년사에서도 "사회의 민주적 개혁을 통해 전체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함과 더불어 조국의 자주, 민주, 통일을 앞당기기 위해 가열찬 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이는 분명히 노조의 역할을 벗어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민노총은 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는 참여를 않고 있다. 한국노총과 민노총은 정치투쟁에 매달리지 말고 본연의 노동자단체로 돌아가야 한다. 몸집이 커진 만큼 그에 비례한 책임의식을 갖길 바란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