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이상현 기자] 올해 단독주택 공시가격의 의견청취 기일이 이달 7일로 종료되는 가운데 단독·아파트 등 주택 공시가격 변동이 새해 부동산 시장의 화두로 떠오를 전망이다.

이달 25일 최종 발표되는 단독주택 공시가격의 경우 서울의 고가주택과 집값 급등 지역에서 올해 공시가격 인상폭이 최대 2~3배에 달해 소유자들의 보유세, 증여·상속세 등 각종 세 부담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6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17일부터 이달 7일까지 올해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 산정가격에 대한 의견청취를 받고 있다.

올해 정부는 전국 418만 가구의 단독주택과 1298만 가구의 공동주택의 지역별·가격별 공시가격의 형평성과 균형성을 맞출 방침이다.

그간 공동주택은 시세의 65~70% 선에 공시가격이 맞춰진 반면 개별성이 강한 단독주택은 보수적인 산정관행으로 공시가격이 시세의 50~55% 선에 그쳤다.

때문에 시민단체 등 사이에서 같은 금액의 주택을 보유하고도 단독주택보다 아파트 보유자들이 보유세를 더 많이 내는 것에 대한 형평성 논란이 이어지기도 했다.

국토부는 그간 보수적으로 반영하던 집값상승률도 올해 적극 반영했다. 집값이 많이 오른 곳일수록 공시가격도 급등할 수 밖에 없다.

예를들어 서울 강남구 삼성동의 한 단독주택은 지난해 공시가격이 38억3000만원에서 올해 57억4000만원으로 50% 상승한다. 강남구 신사동 이면도로에 있는 한 다가구주택은 2017년 11억4000만원이던 공시가격이 올해 18억9000만원으로 66% 오르게 된다.

마포·용산·성동·동작구 등 올해 집값이 많이 오른 강북지역도 공시가격이 크게 오를 전망이다.

서울 마포구 공덕동의 한 단독주택은 지난해 공시가격이 8억3800만원이었으나 올해 15억6000만원으로 86% 오른다. 또 동작구 흑석동의 단독주택도 지난해 6억1100만원에서 올해 8억7600만원으로 43.4% 뛴다.

단 단독주택·공동주택간 현실화율 격차를 좁히는 과정에서 집값이 내려간 지역이라도 일부 단독주택은 공시가격이 오를 전망이다. 집값이 떨어져도 땅값이 오른 지역도 공시가격이 상승한다.

실제 부산 해운대구 송정동의 한 단독주택은 지난해 공시가격이 2억원에서 올해 2억2900만원으로 14.5% 오르고 지난해 1억2000만원에 공시된 다가구주택은 올해 1억4000만원으로 16.7% 상향됐다.

한국감정원 통계를 보면 지난해 해운대구의 주택 매매가는 평균 3.28% 하락했지만 공시가격은 오른 것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단독주택은 대지지분이 작은 아파트와 달리 건물이 아닌 토지가 가격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며 "지난해 부산 해운대구는 각종 개발 호재로 3분기까지 누적 땅값이 6.07% 오르는 등 강세를 보이면서 단독주택 공시가격도 올랐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방이라도 집값이 많이 오른 대구와 광주광역시의 일부 단독주택은 상승률이 두 자릿 수에 이른다. 대구 수성구 범어동의 한 단독주택은 공시가격이 지난해 2억4400만원에서 올해 3억100만원으로 23.4% 상승한다. 또 광주광역시 동구 계림동의 한 단독주택은 지난해 7570만원에서 올해 8390만원으로 10.8% 오른다.

반면 지역경기 침체 등으로 집값이 지속적으로 하락중인 울산·거제 등지의 단독주택은 공시가격이 일부는 오르고 일부는 떨어진다.

경남 거제시 거림리의 한 단독주택은 9260만원에서 8810만원으로 4.86%, 창원 진해구 안골동의 단독주택은 9010만원에서 8940만원으로 2.92% 하락했다. 반면 울산 북구 가대동의 한 단독주택은 지난해 1억2600만원에서 올해 1억2900만원으로 2.38% 오른다.

울산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울산의 집값 하락이 장기화하고 있는데 공시가격이 올랐다는 것을 집주인들이 쉽게 납득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강남 등지의 단독주택 공시가격 인상폭을 고려할 때 지난해 아파트값이 많이 오른 서울지역은 공동주택의 공시가격도 크게 뛸 전망이다.

그러나 올해 지방은 아파트값이 떨어진 곳이 많아 공시가격이 작년보다 떨어진 곳도 많을 전망이다. 지난해 지방 아파트값은 3.09% 하락했다.

한 감정평가사는 "지난해 서울 아파트값은 오르고, 지방은 하락한 만큼 아파트도 단독주택 못지 않게 지역별, 가격대별 공시가격 변동률 격차가 크게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상현기자 ishsy@dt.co.kr

한남뉴타운 일대 단독주택 모습. <연합뉴스>
한남뉴타운 일대 단독주택 모습. <연합뉴스>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상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