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경제단체와 간담회 개최
최저임금 등 갈등 부각 가능성

자유한국당이 정부·여당의 '친노동·반기업 정책'에 비판적인 경영계를 끌어안기 위해 본격적인 '친 기업' 행보를 시작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당은 7일 국회에서 주요 경제단체들과 긴급 간담회를 개최한다. 경제단체들과의 간담회는 야당이 되고 나서 처음인데, 한국당의 '친 기업' 행보가 한국당에 득이 될지, 실이 될지는 불분명하다. 이날 간담회에는 박용만 대상공회의소 회장, 손경식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강호갑 중견기업연합회 회장, 서승원 중소기업중앙회 상근부회장이 참석한다.

한국당에서는 나경원 원내대표와 정용기 정책위의장을 비롯해 소득주도성장폐기·경제살리기 특위 위원장인 김광림 의원, 홍일표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 위원장, 김학용 환경노동위원장, 추경호 정책위 부의장, 국회 정무위·기재위·산업중기위·환노위의 한국당 간사 등이 참석한다.

한국당은 한국 경제가 비상상황에 몰려, 경제 활력을 모색하기 위해서 간담회를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한 경제단체 인사들은 한국당에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에 대한 대안 마련을 요청하고, 탄력근로제 단위 기간 확대 문제,상법 개정안 등에 대한 경영계의 입장을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말 국회에서 통과된 산업안전보건법 전부개정안에 대한 경영계의 우려도 당 지도부에 전달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경영계의 건의 사항에 대한 대안 마련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감사위원의 분리 선출, 집중투표제 의무화, 다중대표소송제 도입 등을 골자로 하는 상법 개정안은 한국당의 반대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계류 중이지만, 바른미래당이 민주당과 공조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한국당이 계속 반대 기조를 유지할 수 있을지 불분명하다.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을 막기 위한 대안 마련도 쉽지 않다. 한국당 소속 의원들이 최저임금 결정 구조를 개편하거나, 최저임금위 위원 구성을 개편하는 등의 최저임금법 개정안을 다수 발의했지만, 여당이 개정안에 반대하고 있어 한국당의 힘만으로는 개정안을 관철하기가 어렵다. 한국당은 대안으로 내년도 최저임금 동결, 처벌 유예 등의 우회 카드를 들고 나올 공산이 크다.

적절한 대안 없이 한국당이 '친 기업' 행보에 '올인'할 경우 노동계와의 갈등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다.

나 원내대표는 취임 직후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주 52시간제를 '잘못된 합의'라고 지적하고 법 개정 등을 통해 관련 제도를 손보겠다고 했다. 나 원내대표는 취임 이후 비공개 의원총회에서도 주 52시간제 합의를 잘못된 합의라고 수 차례 지적했다. 여당과 주 52시간제에 합의한 김성태 전 원내대표와 차별화를 시도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하지만 한국당의 친 기업 행보가 자칫 노동계의 공분을 일으킬 경우 총선을 1년 앞두고 득보다는 실이 클 수 있어 속도 조절에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호승기자 yos547@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