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건강 식생활에 대한 평가점수가 100점 만점에 63.3점에 그쳤다. 20대는 60점에도 미치지 못한 데다 전체 연령대 중 최저 수준이었다.

30일 질병관리본부의 '주간 건강과 질병' 52호에 따르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2013~2015)에 참여한 19세 이상 1만5954명(남자 6688명, 여자 9266명)을 대상으로 평가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식생활평가지수는 국민이 얼마나 건강한 식생활을 하는지를 총 100점 만점으로 표현한 수치다. 국민의 식생활 영역을 총 14개로 나누고 영역별 평가 점수(0∼10점·0∼5점)를 합산해 나타낸다. 대개 국민이 과일·채소를 충분히 섭취할수록, 붉은 고기보다 흰 살 고기를 더 많이 먹을수록, 흰 쌀밥보다 현미밥을 많이 먹을수록 점수가 높아진다. 반면 나트륨과 주류, 탄산음료 등은 적게 먹을수록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평가 결과, 남자는 61.7점, 여자 64.8점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낮았다. 또 나이가 들면서 올라가 60대(67.8점)에서 가장 높았다가 70대 이상에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20대는 57.5점으로 전 연령 중에서 가장 점수가 낮았다. 30대 역시 61.1점으로, 평균에 못 미쳤다. 성별까지 보면 20대 남성의 식생활평가지수가 56.7점을 최하위였다.

총점이 가장 낮았던 20, 30대는 아침식사 결식률이 높고 잡곡과 과일 등을 섭취하지 않는 등 관련 항목 점수가 다른 연령에 비교해 매우 낮았다.

30~40대는 나트륨을 지나치게 많이 섭취해 점수가 깎였다.

상대적으로 총점이 높게 나온 60~70대는 고기, 생선, 달걀, 콩류, 우유·유제품 섭취가 부족했다. 이 연령대는 탄수화물과 지방 등 에너지를 발현할 만한 음식의 섭취량 자체가 적었다.

오경원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 건강영양조사과장은 이 보고서에서 "(전체적으로) 당류, 음료류, 포화지방산, 총 채소 섭취 항목은 다른 항목에 비해 점수가 높았으나 우유·유제품, 과일, 잡곡 섭취 항목은 점수가 낮았다"며 "식생활평가지수 증가를 위해서는 이들 항목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수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