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5G 다기능 협업 로봇'을 비롯해 5G(세대) 이동통신과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솔루션 5종을 공개했다. 이 솔루션은 5G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플랫폼, 단말과 함께 '올인원 패키지'로 판매된다.
SK텔레콤은 20일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스마트제조혁신센터'에서 5G 스마트팩토리 확산 전략을 발표하고 '5G 다기능 협업 로봇', '5G 스마트 유연생산 설비', '5G 소형 자율주행 로봇(AMR)', 'AR스마트 글래스', '5G-AI머신비전' 등 솔루션 5종을 시연했다. 솔루션 5종은 사람과 협업을 통해 전체 생산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개발했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이다.
'5G 다기능 협업 로봇'은 2m(가로)x1m(세로)x1.5m(높이) 크기로, 6축 로봇팔, 3D센싱 기능을 탑재한 카트형 로봇이다. 이 로봇은 내부 공간에 스스로 제품을 적재하고 자율주행으로 이동한다. 로봇은 근로자의 요청에 따라 제품을 다음 생산 라인으로 옮기거나 불량품만 따로 모아 별도 공간으로 운송하는데 주로 쓰인다.
'5G 스마트 유연생산 설비'는 생산라인을 블록쌓듯 만들 수 있는 솔루션이다. 1.5m(가로)x1m(세로)x2m(높이) 크기의 한 모듈마다 부품 제조를 위한 로봇팔 등이 탑재돼 있다. 생산, 검수, 포장 등을 담당하는 모듈 3~10개가 모여 하나의 제품 생산 라인이 만들어진다.
'5G 소형 자율주행 로봇(AMR)'은 사람과 협업을 위한 소형 로봇이다. 하단에 달린 바퀴 4개로 좁은 공간에서도 능숙하게 움직인다. 자율주행을 통해 장애물을 스스로 피한다. 로봇 상단은 용도에 맞게 바꿀 수 있다. 작은 로봇팔을 장착해 근로자에게 연장을 전달할 수 있으며, 쉴드박스를 장착해 중요한 부품을 다른 라인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근로자들을 찾아다니며 음료를 제공하는 도우미 역할 기능으로 개조도 가능하다.
'AR스마트 글래스'는 근로자가 쓰는 AR안경을 통해 설비, 부품 정보, 조립 매뉴얼 등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이며, '5G-AI머신비전'은 국내 1호 5G 산업용 솔루션으로 자동차 부품이 컨베이어 벨트를 지나가는 동안 1200만 화소 카메라로 사진 24장을 다각도로 찍어 5G를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는 서비스다.
이 솔루션들은 5G 네트워크상에서 LTE 네트워크와는 달리 설비 유형에 맞게 네트워크 성능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용량 데이터 전송과 인공지능 클라우드 서버까지 빠른 반응속도를 요구하는 '5G-AI머신비전'에는 고속 데이터 모드로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식이다. 또한 방위 산업용 부품이나 반도체 부품을 제조하는 공장의 경우 '양자암호통신'을 추가 적용해 네트워크 보안 강도를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많은 제조 공장이 스마트팩토리로 쉽게 전환될 수 있도록 5G네트워크·특화 솔루션·데이터 분석 플랫폼·단말을 '올인원 패키지'로 제공한다. 또한 데이터를 분석해 개선점을 찾고 이에 맞는 솔루션을 추천한다. 5G, AI, 클라우드 등 첨단 기술을 설비 전반에 접목할 수 있도록 컨설팅하기도 한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올인원 패키지'는 스마트팩토리를 도입하고자 하나 IT전문인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중소기업에 특히 유용한 방식"이라며 "스마트팩토리 구축 단가를 낮추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현장 노하우를 데이터베이스로 축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동시에 SK텔레콤은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중앙화/가상화해 비용을 줄이고, 효율을 높이는 '심플 엣지'도 추진한다.
장홍성 SK텔레콤 IoT/Data사업단장은 "올인원 패키지, 심플 엣지, 규격 표준화 등을 통해 5G 스마트팩토리가 기존 성과와 시장 전망을 뛰어넘는 고부가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며 "다른 ICT회사, 공장자동화 전문기업과도 협업해 새로운 5G 팩토리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 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과 스마트제조혁신센터 주도로 총 19개 기업·기관이 참여하는 '5G스마트팩토리 얼라이언스(5G-SFA)'가 이날 출범했다. 삼성전자, 마이크로소프트, 보쉬, 지멘스 등 스마트팩토리의 각기 다른 분야 기업들은 5G-SFA를 통해 분절된 기술·규격을 통일하고, 호환이 가능한 범용 솔루션을 만든다. 5G를 활용한 상용 기술, 사업 모델도 공동 개발한다. 통일된 규격이 마련되면, 5G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개발 속도가 빨라지고, 비용이 절감된다. 중소기업도 수월하게 솔루션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김위수기자 withsuu@
SK텔레콤모델들이 5G 스마트 유연생산 설비를 통해 소형IoT 기기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지켜보고 있다. SK텔레콤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