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률·수수료 및 금융서비스 타사와 비교해봐야
연금자산의 실질 수익률도 직접 챙기는 것이 바람직

연금자산이 집중 납입되고, 연간 운용성과가 평가되는 연말연시를 맞아 금융감독원이 연금자산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6가지 방법을 16일 소개했다.

금감원은 우선 연금계좌 추가납입 필요성을 따져보라고 했다. 연금계좌의 세액공제 한도는 연금저축이 연간 400만원, 개인형퇴직연금(IRP)은 연간 700만원이다.

세액공제 한도 700만원을 모두 채우려 한다면 연금저축 400만원에 IRP 300만원을 채우는 방법과 IRP로만 700만원을 다 채우는 방법이 있다.

세액공제율은 총급여가 5500만원 이하인 경우 16.5%, 총급여가 550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13.2%로 차등 적용된다.

지난해에 연간 세액공제 한도를 초과해 납입했다면 올해 납입금으로 전환해 세액공제를 신청할 수 있다.

IRP의 경우 수수료 할인 혜택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IRP 수수료는 퇴직연금사업자·적립금 구간별로 다르고, 개인 추가납입분에 대해 수수료를 면제하는 경우도 있다.

예금자보호한도는 일반 예금과 별도로 금융회사별로 1인당 5000만원까지 가능하다. 확정기여형 퇴직연금(DC)이나 IRP 적립금을 예금으로 운용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수익률·수수료 및 금융회사의 서비스 수준은 타사와 비교해봐야 한다. 타사의 서비스 수준이 더 좋다면 연금계좌를 옮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때 계좌 이전은 중도인출로 간주되지 않기 때문에 세제상 불이익이 없다.

연금자산의 실질 수익률도 직접 챙기는 것이 좋다. 은행 정기예금 등 만기 도래(또는 추가납입)시 운용지시를 변경하지 않아 동일상품으로 재예치되거나 대기자금화돼 낮은 금리를 적용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가입자는 실질수익률(금리)이 높은 상품을 제시해달라고 금융사에 요구하고 변경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연금 관련 정보는 금감원이 운영하는 '통합연금포털'을 활용해볼 만하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본인이 가입한 국민·퇴직·개인연금의 가입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55세부터 90세까지 매년 수령예정인 연금정보를 표 또는 그래프 형태로 볼 수도 있다. 주현지기자 jhj@dt.co.kr

연금계좌의 세액공제 한도는 연금저축이 연간 400만원, 개인형퇴직연금(IRP)은 연간 700만원이다.  세액공제 한도 700만원을 모두 채우려 한다면 연금저축 400만원에 IRP 300만원을 채우는 방법과 IRP로만 700만원을 다 채우는 방법이 있다. 금융감독원 제공.
연금계좌의 세액공제 한도는 연금저축이 연간 400만원, 개인형퇴직연금(IRP)은 연간 700만원이다. 세액공제 한도 700만원을 모두 채우려 한다면 연금저축 400만원에 IRP 300만원을 채우는 방법과 IRP로만 700만원을 다 채우는 방법이 있다. 금융감독원 제공.
연금 관련 정보는 금감원이 운영하는 '통합연금포털'을 활용하면 편리하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본인이 가입한 국민·퇴직·개인연금의 가입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금융감독원 제공.
연금 관련 정보는 금감원이 운영하는 '통합연금포털'을 활용하면 편리하다. 해당 사이트에서는 본인이 가입한 국민·퇴직·개인연금의 가입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다. 금융감독원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