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S·서울대 각각 9명 최다선정
우리나라 과학자 53명이 올해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에 이름을 올렸다.

글로벌 학술정보 데이터 분석 서비스 기업인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27일 자사의 '웹 오브 사이언스'를 기반으로 '2018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연구자-논문 피인용 횟수가 많은 연구자(HCR)' 명단을 발표했다.

21개 과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 모두 4000여 명의 연구자가 HCR로 선정됐고, 올해 신설된 '크로스 필드' 항목에 2000여 명의 연구자가 뽑혀 모두 6000여 명에 달했다.

6000명의 연구자 중 우리나라 연구자는 중복 선정을 포함해 58명에 달했다. 이 가운데 4명이 2개 이상의 연구 분야에서 선정돼 실제 HCR 연구자는 53명에 이른다. 53명 중 한국인은 50명이다.

소속기관별(중복 포함)로는 IBS(기초과학연구원)와 서울대가 각각 9명으로 가장 많았고, UNIST(울산과학기술원) 7명, 고려대와 KAIST가 각각 5명, 성균관대 4명, 경희대 3명 등의 순이었다.

올해 처음으로 신설된 '크로스 필드'에 선정된 한국 연구자는 22명에 달해 한국의 HCR 숫자는 지난해 보다 70% 증가했다.

특히 노벨상 수상에 견줄만한 잠재적 노벨상 수상자 명단에 박남규 성균관대 교수, 로드니 루오프 UNIST 교수(IBS 연구단장) 등을 포함해 전 세계 56명의 연구자가 이름을 올렸다.

한편 HCR 배출 국가를 보면 미국이 2639명으로 대다수를 차지한 가운데 영국(546명), 중국(482명), 독일(356명) 등의 순으로 많았으며, 기관별로는 미국 하버드대(186명), 미국 NIH(148명), 미국 스탠퍼드대(100명), 중국과학원(91명), 독일 막스플랑크협회(76명) 등이 많은 숫자를 기록했다.

대전=이준기기자 bongchu@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