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野 5당 원내대표 회동서 결론
정기국회 후 국정조사 실시키로
여야정 상설협의체도 재가동
예산안 '강 대 강' 충돌은 여전

국회정상화에 합의한 문희상 국회 의장과 여야 원내대표들이 21일 국회의장실에서 합의문 발표에 앞서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장병완 민주평화당 원내대표,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문 의장,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  연합뉴스
국회정상화에 합의한 문희상 국회 의장과 여야 원내대표들이 21일 국회의장실에서 합의문 발표에 앞서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장병완 민주평화당 원내대표, 홍영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문 의장,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 연합뉴스

국회가 자유한국당·바른미래당의 의사일정 전면 거부 사흘 째인 21일 정상화됐다.

여야 5당 원내대표는 이날 문희상 국회의장 주재로 회동을 하고 이날부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 모든 상임위의 활동을 정상화하기로 했다.

여야 간 최대 쟁점이었던 채용비리 의혹 국정조사를 더불어민주당이 전격 수용하면서 지지부진했던 협상은 급물살을 탔다.

여야는 정기국회 후 채용비리 의혹 국정조사를 실시하기로 하고 12월 중 본회의를 열어 국정조사계획서를 처리하기로 합의했다.

여야정 상설협의체도 재가동하기로 했다. 민주당·한국당·바른미래당은 여야정 상설협의체 실무협의를 재가동하고, 여야정 상설협의체에서 처리하기로 합의한 법안을 정기국회 중 처리하는 데 노력하기로 했다. 여야는 음주운전 기준과 처벌 수위를 높인 일명 '윤창호법'과 사립유치원 관련법 등 민생법안을 정기국회 중 처리하기로 했다. 지난 15일 본회의에서 처리하기로 했던 무쟁점 법안 90건은 오는 23일 본회의에서 처리하기로 했다.

여야가 국회 정상화에 합의했지만, 여야의 갈등요소가 사라진 것은 아니다. 30일 본회의에서 처리하기로 한 내년도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여야의 '강 대 강' 충돌은 계속될 전망이다.

내년도 예산 중 최대 쟁점은 23조 5000억원 규모의 일자리 예산이다. 일자리 예산을 지키기 위한 여당과 대대적으로 삭감하겠다는 야당의 충돌이 불가피하다.

판문점 선언 이행 등을 위한 1조 1000억원 규모의 남북협력기금도 쟁점이 될 전망이다. 한국당은 남북협력기금도 대폭적인 삭감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어서 여야의 충돌이 예상된다.

예산안 처리 이후 열릴 것으로 보이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에서도 여야가 충돌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홍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가 야당의 반대로 채택되지 않고,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한다면 야당이 다시 보이콧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아 겨울 내내 정국은 꽁꽁 얼어붙을 전망이다.

이호승기자 yos547@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