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김양혁 기자] 현대자동차 노동조합도 민주노총 총파업에 동참한다. 광주시가 현대차와 추진 중인 '광주형 일자리'가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이라며 저지하기 위한 차원이다. 하지만 지난 3분기 사상 최악의 '실적 쇼크'를 기록하면서 오히려 '제 살 갉아먹기'식 파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차지부에 따르면 오는 21일 조합원 가운데 오전 근무조는 오후 1시 30분부터, 오후 근무조가 오후 10시 30분부터 각 2시간 파업에 돌입하며 민주노총 총파업에 동참한다.

표면적인 이유는 광주시가 추진 중인 현대차의 광주공장 유치 저지 차원이다. 현대차 노조는 광주시가 '반값연봉'을 골자로 내세운 광주형 일자리를 '대국민 사기극'이라는 극단적인 표현까지 쓰며 비난하고 있다. 이미 국내 자동차 산업은 포화 상태에 이르렀고 새로운 시설을 짓는 것은 중복투자로 산업 전체를 몰락으로 이끌 것이라는 게 노조 측의 주장이다. 아울러 정부가 일자리 창출이라는 명분 아래 이를 강행하고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하지만 노조가 정부 주도의 일방적인 정책이라는 주장을 펼치면서 파업을 벌이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온다. 제조업 특성상 파업이 회사에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대차 노조가 파업할 경우 하루 약 3500대의 차량 생산 차질을 빚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는 금액으로 770억원 규모다.

특히 현대차는 지난 3분기 사상 최악의 실적을 받아들였다. 올해 3분기 영업이익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76% 감소한 2889억원에 그쳤다. 4분기 연속 영업이익 1조원 하회는 고사하고, 2010년 IFRS(국제회계기준) 적용 이후 사상 최악의 분기 실적이다. 1분기 기록했던 영업이익 최저치(6813억원)와 비교해도 절반도 채 되지 않는 실적이다. 기업 수익성의 척도로 여겨지는 영업이익률은 1.18%에 불과하다. 100원어치 팔아 1원을 남긴 셈이다.

실적 회복에 갈 길 먼 현대차로서는 '사면초가' 상태다. 현대차 역시 광주시가 제안한 광주공장 설립 계획에 난색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지만, 광주시는 이를 강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광주시 측은 광주공장 설립이 무산된 것은 아니고 지속 대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지방자치단체가 기업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채 제 속살만 채우기 급급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다.김양혁기자 mj@dt.co.kr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임금과 단체협약 투쟁 출정식을 열고 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자동차지부>
현대자동차 노동조합이 임금과 단체협약 투쟁 출정식을 열고 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현대자동차지부>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