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IA, ‘데이터 경제의 부상과 사회경제적 영향’ 보고서 발간
우리나라가 데이터경제 강국으로 도약하려면 고품질 데이터 거래 플랫폼 마련이 필수라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 원장 문용식)은 20일 데이터경제로의 전환과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는 '데이터경제의 부상과 사회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는 각국의 데이터경제 확대 정책을 진단하고 데이터 제의 개념과 범위를 정의하는 한편 우리나라가 데이터경제 강국이 되기 위한 전략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데이터경제 개념과 범위를 새롭게 정의하면서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활용되면 데이터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가속화돼 지금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광범위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데이터경제 시대를 열기 위한 범국가적 방안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데이터경제 활성화를 위한 7가지 전략도 제시했다. 핵심은 기업과 공공분야, 개인이 데이터를 이용해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도록 데이터를 거래 플랫폼 구축과 운영의 필요성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가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로 구성된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데이터 거래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법제도 정비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완벽한 법제도를 제정하려는 시도보다는 기존 법제도에서 데이터 거래에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우선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문용식 NIA 원장은 "이미 데이터 기업을 표방한 구글이나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 등은 말할 것도 없고 글로벌 제조 대기업들도 데이터 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면서 "우리도 이러한 세계적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지 않으면 경쟁에서 뒤처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경애기자 naturean@dt.co.kr
우리나라가 데이터경제 강국으로 도약하려면 고품질 데이터 거래 플랫폼 마련이 필수라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 원장 문용식)은 20일 데이터경제로의 전환과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는 '데이터경제의 부상과 사회경제적 영향'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는 각국의 데이터경제 확대 정책을 진단하고 데이터 제의 개념과 범위를 정의하는 한편 우리나라가 데이터경제 강국이 되기 위한 전략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데이터경제 개념과 범위를 새롭게 정의하면서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활용되면 데이터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가속화돼 지금은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광범위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아울러 데이터경제 시대를 열기 위한 범국가적 방안 마련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데이터경제 활성화를 위한 7가지 전략도 제시했다. 핵심은 기업과 공공분야, 개인이 데이터를 이용해 성공사례를 만들 수 있도록 데이터를 거래 플랫폼 구축과 운영의 필요성이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가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로 구성된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데이터 거래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법제도 정비에 나서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완벽한 법제도를 제정하려는 시도보다는 기존 법제도에서 데이터 거래에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을 찾아 우선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문용식 NIA 원장은 "이미 데이터 기업을 표방한 구글이나 애플, 페이스북, 아마존 등은 말할 것도 없고 글로벌 제조 대기업들도 데이터 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면서 "우리도 이러한 세계적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지 않으면 경쟁에서 뒤처지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경애기자 naturean@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