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자들 많이 뛰어드는 업종
은행권 대출 막히자 잇단 발길
1년새 21% 증가한 15.5조 빌려
경기 불황 속 매출 점점 감소
금리 인상땐 상환부담 더 커져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고금리 대출로 꼽히는 제2금융권에 손을 대는 숙박·음식점업이 빠르게 늘고 있다. 금리 인상 기조에 따라 향후 이들 차주들의 대출 상환에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말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숙박·음식점업 대출은 15조5249억원으로 1년 전보다 21.2% 증가했다.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은 수출입은행, 상호저축은행, 상호금융,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등을 말하는 것으로 예금은행보다 대출금리가 높다.

숙박·음식점업의 비은행 대출은 2014년 3분기부터 매분기 두 자릿 수 증가율을 보였다. 2016년 4분기부터 2017년 3분기까지는 30%대 증가율을 보였다.

빠르게 불어난 덕분에 2분기까지 대출 잔액은 3년 전인 2015년 2분기(7조9705억원)보다 2배로 증가했다. 관련 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2008년 1분기(5조3596억원)와 비교했을 때는 3배로 늘었다.

숙박·음식점업의 은행권 대출은 규모만 놓고 봤을 때는 비은행권보다 많지만 대출 증가 속도는 비은행권이 더 가파르다. 올 2분기 숙박·음식점업의 은행권 대출은 37조5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6.0% 증가했다. 은행권 대출 증가율은 2014년 3분기부터 2016년 1분기까지 두 자릿수를 나타내다가 한 자릿수로 떨어졌다.

숙박·음식점업은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데다 많은 은퇴자들이 자영업으로 뛰어드는 영역이다. 과열 양상까지 보이고 있지만 숙박·음식점업의 수익성은 떨어지는 추세다. 통계청에 따르면 숙박·음식점업의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률은 2015년 13.4%로 4년 전보다 9%포인트 하락했다. 창업 후 3년 생존율도 2015년 30.2%에 그쳐 전체 산업 평균(39.1%)보다도 낮다.

내년에는 내수 부진에 더불어 수출 경기도 떨어지는 등 경기 둔화 정도가 올해보다 심화될 전망이 높아 숙박·음식점 업주들의 부담이 한층 커질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내년에는 최저임금 인상까지 겹쳐 영세 자영업자들의 경제 사정이 팍팍해질 것으로 보인다.

조은애기자 eunae@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