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비용 투입 1000대기업 조사
"10년내에 중국이 추월 가능성"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 개발 분야에서 미국의 연구개발(R&D) 비용이 중국보다 5배 많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중국 관련 분야 기업에 각종 제재를 가하면서 미국은 중국의 첨단 기술 분야 굴기를 철저히 억제하고 있다.

미 월스트리트저널(WSJ)은 30일(현지시간) 글로벌 회계법인인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 보고서를 인용, 연구개발에 중국 기업들이 1달러를 투입할 때 미국 기업들은 5달러를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PwC는 지난해 7월부터 올해 6월까지 1년간 글로벌 상장회사 가운데 연구개발비를 가장 많이 투입한 상위 1000 개 기업을 조사했다. 이들 1000 개 글로벌 기업의 연구개발비는 총 7818억 달러(약 890조8600억 원)로 집계된 가운데 미국 기업들의 연구개발비는 3290억 달러를 차지했다. 반면 1000 개 기업 가운데 포함된 145개 중국 기업들의 연구개발비는 610억 달러에 불과했다.

하지만 중국의 발전 속도 만큼은 주목할만한 것이었다. 10년 전 조사에서는 상위 1000 개 기업에 포함된 중국 기업은 14개에 불과했고, 이들의 연구개발비는 70억 달러에 그쳤다고 WSJ은 전했다. 세계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미국 아마존과 구글의 모기업인 알파벳의 연구개발비는 각각 226억 달러와 162억 달러를 기록했다. 아마존은 1년 전에 비해 연구개발비가 40%나 급증했다.

중국 기업들 가운데서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알리바바가 36억 달러, 중국 최대 IT기업인 텐센트가 27억 달러의 연구개발비를 투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사를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세계최대 통신장비 제조업체인 화웨이는 집계에서 빠졌다. 화웨이는 지난해 130억 달러의 연구개발비를 투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PwC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배리 자루젤스키는 "미국과 중국 간 연구개발비 격차는 좁혀지고 있고, 계속 좁혀질 것"이라면서 "향후 10년 내에 중국이 미국을 추월해도 충격이 아닐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 기업들의 연구개발비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은 인수·합병을 성장의 동력으로 활용해온 것이 한 원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하월 교수는 "알리바바나 텐센트를 비롯한 중국의 거대 기업들은 자체 연구개발보다는 (다른 기업의) 인수를 통해서 혁신을 추구해왔다"고 말했다. 중국의 풍부한 연구개발 인력도 연구개발비가 적게 투입되는 요인으로 지적됐다. 세계경제포럼(WEF)은 과학, 기술(테크놀로지), 엔지니어링, 수학 등의 분야에서 중국의 대학졸업자는 2016년 470만 명으로, 56만8000 명을 기록한 미국의 8배가 넘는다고 평가했다. 중국이 같은 비용으로 더 많은 연구개발 인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자루젤스키는 "100만 달러를 투입할 때 미국에서보다 더 많은 박사를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선영기자 sunnyday72@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윤선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