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이후 최저 성장률 예상
설비·건설투자 조정국면 뚜렷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18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은행이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9%에서 2.7%로 낮췄다. 기존에 2.8%로 내릴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으나 이보다 0.1%포인트 더 내렸다.

한은 전망대로라면 올해 한국 경제는 지난 2012년(2.3%) 이후 최저 성장률을 기록한다. 한은은 18일 '2018년 및 2019년 수정경제전망'을 내고 올해와 내년 GDP(국내총생산) 성장률 전망치를 각각 2.7%로 하향 조정했다.

이번 전망치는 한은의 잠재성장률 수준인 2.8~2.9%보다 낮다. 한국 경제가 올해 잠재 수준만큼의 성장도 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나올 수 있는 지점이지만 한은은 여전히 잠재성장률을 벗어나지 않았다는 평가다. 잠재성장률이 2016~2020년까지의 평균 개념이고 각종 불확실성을 감안했을 때 0.1%포인트 차이는 무의미하다는 것이다.

정규일 한은 부총재보는 "잠재성장률 자체가 추정 불확실성이 있어서 2.7%로 낮춘 전망치가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는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수치에서 올 3분기까지 한국 경제는 위축된 상태인데다 전망치도 어둡다.

완만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이는 민간소비를 제외한 나머지 부문에서 하향 전망이 주를 이뤘다. 지난 7월 경제전망 때 1.2% 증가율을 나타낼 것으로 봤던 설비투자 증가율은 이번 전망에서 0.3% 마이너스 성장할 것으로 봤다. 건설투자 증감률도 -0.5%에서 -2.3%로 감소폭이 확대했다.

투자는 뚜렷한 조정 국면이라고 한은은 평가했다. 설비투자는 디스플레이 업황 부진 및 반도체 초과공급 우려 등으로 감소했고 건설투자도 공사물량 축소가 이어지면서 조정이 지속했기 때문이다. 내년에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소폭 개선하지만 비IT 업종의 경우 자동차, 철강 등 보호무역주의 영향으로 부진할 예상이다.

올해 취업자 증가수 전망치는 9만명으로 이전 전망치보다 반토막 났다. 지난 1월 한은 경제전망 때 30만명이었던 취업자 증가수 전망치는 4월에 26만명, 7월에 18만명까지 떨어졌다가 이번에 한 자릿수까지 내렸다. 3분기 고용 상황은 크게 떨어졌다. 취업자 증가수는 2분기에 10만1000명에서 3분기에 1만7000명으로 급감했다. 3분기 중 실업률도 4.0%로 전분기 대비 0.2%포인트 늘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6%로 앞선 전망치 수준을 유지했으나 식료품 및 에너지 지수를 제외한 근원인플레이션율은 1.2%로 지난 전망치(1.4%)보다 떨어졌다. 내년도 근원인플레이션율 전망치는 기존 1.9%에서 1.6%로 떨어졌다.

다만 경상수지는 700억 달러 흑자를 달성할 것으로 보면서 지난 전망치(650억 달러)보다 늘었다. 상품수지가 1140억 달러로 지난 전망치보다 30억 달러 늘고 서비스수지 적자는 320억 달러로 소폭 줄어들 것이라고 예상했다.

조은애기자 eunae@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