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예진수선임기자] 한국경제연구원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2.8%에서 2.7%로 하향 조정했다.

한경연은 18일 'KERI 경제 동향과 전망-2018년 3분기 보고서'에서 "설비·건설투자의 급격한 위축 등으로 올해 성장률은 2.7%에 그칠 것"이라며 "투자 위축이 올해 국내 성장 흐름 약화를 주도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한경연은 지난해 14.6%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던 설비투자가 올해에는 기존 증설 설비에 대한 조정, 금리 상승, 성장 둔화, 무역 마찰 장기화에 따른 추가 설비 증설 유인 부족 등으로 1.5%까지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둔화 추세에 진입한 건설투자는 입주 물량 증가와 부동산 억제 정책으로 하반기로 갈수록 둔화 폭이 확대되며 증가율이 -0.5%까지 떨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수출부문은 당분간은 증가세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무역마찰 장기화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등 주요품목에 대한 수요확대에 힘입어 수출은 호조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민간소비는 소비심리가 다소 위축되고 있지만 정부의 소득지원 정책이 저소득층 소득 개선에 영향을 주면서 지난해 비슷한 수준인 2.7% 증가율을 이어갈 것으로 관측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9%에서 올해 1.5%로 낮아질 것으로 봤다. 최저임금과 큰 폭의 유가 상승에도 불구하고, 성장세 둔화로 인한 낮은 수요압력과 가계부채·고령화 등의 구조적 원인이 물가상승세를 둔화시킬 것으로 전망했다. 경상수지는 상품수지의 흑자 폭이 줄어드는 가운데 서비스 수지의 적자가 유지되고 이전소득 수지가 악화되면서 지난해에 비해 112억달러 감소한 672달러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원·달러 환율은 1089원으로 지난해 평균환율(1130.5원)에 비해 소폭 절상될 것으로 예견했다. 시장금리(회사채AA-, 3년)는 미국 기준금리인상 가속화 등으로 국내 금리인상 압력이 높아지며 3.0% 수준으로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예진수선임기자 jinye@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