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예진수선임기자] 우리 통상 전문가 2명 중 1명은 미·중 간 무역협상이 연내 타결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또 절반 이상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산 자동차에 대해 10% 내외의 수입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전망했다.
7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교역·해외투자 기업인, 애널리스트, 학계 인사 등 통상전문가 50명을 대상으로 '미·중 통상전쟁 전망과 대응' 설문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연내 협상타결 불발 의견이 50%에 달했다. 32%가 미·중간 무역협상이 최종 결렬될 것으로 예상했으며 18%는 내년 상반기에나 협상이 타결될 것으로 전망했다. G2간 격화되는 통상전쟁이 수출 한국의 최대 불안요소로 떠오른 상황에서 통상전문가 절반이 9월말 미·중 무역협상 중단에 따른 국제통상여건 악화를 우려했다. 이어 28%는 11월말 아르헨티나 G20 정상회의(11월30~12월1일) 전후에 협상이 타결될 것으로 봤고, 14%는 11월초 미국 중간선거 전에 미·중 무역협상이 타결될 것으로 예견했다. 최근 최대 통상 현안인 미국의 한국산 자동차 및 부품에 대한 관세부과 전망과 관련해서는 최종적으로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보는 시각(64%)이 지배적이었다. 통상전문가의 50%는 10%대 관세가 부과될 것으로 예상했고, 14%는 25%의 최고 관세율이 적용될 것으로 내다봤다. 관세부과 대상국에서 제외될 것으로 본 전문가는 26%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우리 정책당국이 취할 수 있는 단기 대책으로 '미·중 통상당국과의 지속적 대화·설득을 통한 통상여건 악화 선제대응'(68%),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참가 등 자유무역협정 확대'(46%), '중국·아세안·인도 등 신흥국의 지속적 비관세장벽 강화 적극 대응'(46%), '관세장벽 강화 관련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 국제기구 활용'(18%) 순으로 제시(복수응답)했다.
엄치성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한국의 대외의존도가 77%에 이를 정도로 높고, 제1, 제2 수출대상국이 중국(무역비중 27%), 미국(무역비중 12%)이어서 미·중 통상마찰로 우리의 통상 펀더멘털이 근간부터 흔들리고 있다"며 "CPTPP 참여, 한중FTA 서비스·투자 후속협상의 조속한 마무리 등 최대한 자유무역 존을 확대해 선택지를 넓혀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