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LTE-R·이통망 연동 강조
"경찰·소방·해경 등 연계 가능"
KT, 지진 조기감지 플랫폼 계획
5일 입찰 마감 최종사업자 주목


SK텔레콤과 KT가 국가 재난안전망 구축 사업권을 놓고 자존심 대결을 벌인다.

2013년 대구지하철 참사 이후 15년 만에 재난망 구축을 위한 입찰이 5일로 마감된다. 행정안전부는 총 1조7000억원 규모의 사업을 발주, 시도 권역별로 A·B·C 사업으로 나눠 진행한다.

국가 재난망 사업에는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통신사를 주축으로 범 IT 업계가 컨소시엄을 구성할 전망이다. 특히 주요 통신사들이 각각 몇 개의 사업권역을 거머쥘지가 관심 포인트다. 이에 맞춰, 사업권 수주를 위한 물밑 경쟁도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SK텔레콤은 지난 28일 철도통합통신망(LTE-R)이 구축된 부산지하철 1호선 현장에서 LTE-R 현황과 향후 계획을 밝혔다. 재난안전통신망 본 사업자 선정을 한 달 앞두고 LTE-R 망과 추가 구축될 재난망의 상호 연동을 사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LTE-R은 공공통합망주파수 700㎒를 사용하는 철도용 단일망이다.

SK텔레콤은 2015년 8월 부산교통공사와 '도시철도 LTE-R 구축 사업' 계약 체결 후, 부산도시철도 1호선 40개 역사 40.48㎞ 구간을 기존 음성 아날로그 통신망에서 데이터 기반의 LTE-R로 전환했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027년까지 1조1000억원 가량을 투입해 전국 일반 및 고속 철도망을 LTE-R로 교체한다. 전체 사업 중 90%가 남아있는 상태다. LTE-R 방식으로 전환할 경우, 기존에 1대1 음성통화만 가능했다면 최대 60Mbps 속도로 실시간 영상 전송, 그룹 통화·문자 등을 통해 관제실·기관사·역무원·구조요원 간 동시에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다.

SK텔레콤이 LTE-R 레퍼런스를 강조한 이유는 LTE-R 이 재난안전통신망·이통사 상용망 등과 연동해 범국가 공공 네트워크로 진화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현재는 경찰, 소방, 해경, 각 지자체 등이 각각 다른 통신망을 사용하고 있어 동시 통신이 불가능하다. 또 각 기관들이 소통하기 위해서는 각 통신 환경에 맞는 여러 대의 단말기가 필요하다. 하지만 재난안전통신망이 구축된 이후 LTE-R·이통사 상용망 등과 서로 연동된다면 전국을 촘촘하게 커버하는 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다. LTE-R망과 재난안전통신망 등 서로 다른 통신망은 '공유 기지국'을 통해 서로 연동시킬 수 있다. '공유 기지국(RAN Sharing)'은 서로 다른 망의 기지국을 공유해, 하나의 통일된 망처럼 통신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 연동 기술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차세대 공공안전통신망 국책과제'에 참여해 통신망 간 상호연동 및 운용방안 등의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KT는 지난 28일 한국재난정보학회와 협력키로 하고 재난망 사업에 힘을 더했다. 한국재난정보학회는 2005년 행정안전부의 정식 인가를 받아 전국 주요 대학의 재난 안전 분야 전문 교수진과 연구원 등 1400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는 학술단체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KT와 한국재난정보학회는 지진, 화재, 보행자 교통사고 등 재난과 안전사고 발생 시 활용될 수 있는 LTE, 5G 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재난 안전관리 표준 대응 절차를 공동으로 수립한다.

김준근 KT 기가 IoT사업단장은 "양 기관은 케이블, 통신구, 통신주와 같은 KT 통신 인프라에 사물인터넷 지진 감지 센서를 설치해 지진 패턴을 수집하고 진동 알고리즘을 분석해 지진을 조기에 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전문 플랫폼을 구현할 계획"이라면서 "앞으로 KT는 한국재난정보학회와 협업하는 과정에서 쌓이는 각종 재난 안전 관련 데이터를 축적할 것"이라고 밝혔다.

심화영기자 dorothy@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