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씬 디스커버리' 연내 상용화
미디어·음악·커머스 서비스 간
교차 콘텐츠 추천도 가능할 듯

영화나 드라마 등 미디어 콘텐츠 속 장면을 검색하는 '씬 디스커버리' 기술을 적용해 '라라랜드'의 한 장면을 찾아냈다,  SK텔레콤 제공
영화나 드라마 등 미디어 콘텐츠 속 장면을 검색하는 '씬 디스커버리' 기술을 적용해 '라라랜드'의 한 장면을 찾아냈다, SK텔레콤 제공
SK텔레콤이 드라마와 영화 속에서 특정 인물과 음성, 상황을 골라 볼 수 있는 기술을 연내 상용화한다. 더불어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콘텐츠를 추천해 재생률을 높이고. 나아가 커머스 분야까지 연결한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27일 서울 을지로 삼화타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AI 미디어 추천 기술'을 발표했다. 이종민 SK텔레콤 미디어기술원장은 "앞으로는 AI를 통해 미디어, 음악, 커머스 서비스 간 교차 콘텐츠 추천도 가능해질 것"이라며 "각 영역의 사용자들을 끌어들여 전체 사용자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날 소개한 기술은 △영상분석 바탕의 씬 디스커버리(장면 검색) 기술 △고객 취향 분석 기반 콘텐츠 개인화 추천 기술로, SK텔레콤 미디어기술원과 AI기술 유닛, SK브로드밴드가 함께 개발했다.

씬 디스커버리는 사용자가 원하는 장면을 AI가 직접 골라 보여주는 기술이다. 현재는 얼굴·음성·상황을 인식할 수 있으며 2500명 이상의 유명 인물을 비롯해 댄스, 키스 등 50여 개의 상황, 배경 음악 등이 학습돼 있다. 얼굴인식의 경우 얼굴을 감지하고 유사도를 바탕으로 인식해 다른 상황에서도 그 얼굴을 찾아준다.

SK텔레콤은 앞으로 감정, 자막, 대상을 인식하는 기술 또한 개발할 계획이다. 두 분야를 교차 검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인공의 키스신을 보고 싶다면, AI가 여자 주인공과 남자 주인공의 얼굴을 인식해 두 인물이 동시에 등장하는 장면을 추출한다. AI는 추출된 장면들 중 키스하는 상황으로 판단되는 장면을 제시한다.

이외에도 씬 디스커버리를 통해 특정 영화 속에서 배우의 프로필 이미지를 추천하거나, 프로그램 도입부나 엔딩 구간을 터치 한 번으로 뛰어넘을 수 있는 기능도 사용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이날 콘텐츠 개인화 추천 기술도 소개했다. 이 기술은 개인의 시청 이력을 바탕으로 관련 콘텐츠를 홈 화면에 추천한다. 이 기술에는 딥러닝 알고리즘 중에 가장 진보된 기술로 평가받는 RNN(순환신경망 모델)이 활용됐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과거 콘텐츠 시청 순서까지 분석할 수 있다.

SK브로드밴드는 현재 옥수수 이용자 중 약 10만 명을 대상으로 이 기술을 적용 중이며, 향후 전체 이용자에 확대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자연어 분석 기술을 활용한 키워드 바탕 추천 서비스 또한 적용 중이다. 이 기술은 댓글에서 언급된 내용을 통해 콘텐츠를 추천하고 욕설이나 부정적인 언어는 필터링한다. 이종민 미디어기술원장은 "현재 옥수수에서 영화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 중이며, 예능과 드라마 등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협상 중"이라고 말했다.

정예린기자 yeslin@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