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미북정상회담 전초전 양상
핵검증·사찰 놓고 담판 지을듯

폼페이오, 내달 4차 방북 공식화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10월 평양을 방문해 2차 미북정상회담의 핵심 의제가 될 비핵화와 종전선언 간 '빅딜'의 방향을 조율할 것으로 전망된다. 2차 미북정상회담은 11월 개최가 점쳐지는데, 2차 미북정상회담에서 비핵화의 실질적 진전을 이뤄낸다면 연내 종전선언 가능성도 높아진다.

폼페이오 장관의 4차 방북은 미북 간 대화의 재개를 의미하는 것으로 2차 미북정상회담의 전초전 성격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당초 지난달 말 평양을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비핵화가 충분히 진전되지 않고 있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판단에 따라 방북을 취소했다.

폼페이오 장관이 4차 방북을 수락한 것은 북한의 비핵화 진전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이나 기대감이 반영된 결정으로 해석된다.

특히 폼페이오 장관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초청을 받은 만큼 이번 방북에서 핵 검증·사찰 등 실질적 비핵화 조치를 놓고 담판을 지을 것으로 보인다. "특정한 시설, 특정한 무기에 대한 대화가 진행 중"이라고 폼페이오 장관의 폭스뉴스와의 인터뷰 내용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번 방북에서는 김 위원장과 폼페이오 장관의 면담은 성사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면담이 이뤄지더라도 김 위원장이 비핵화 구두 약속만으로 일관하면서 종전선언을 요구한다면 비핵화 협상은 또 한차례 위기에 봉착할 가능성이 높다.

폼페이오 장관은 26일(현지시간) CBS방송과의 인터뷰에서 "(4차 방북에서)올바른 여건이 갖춰지는 것은 확신하고 싶다"면서 "우리는 물건을 '확인도 않고 사는(buy a pig in a poke)' 일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이는 북한이 비핵화를 향한 의미 있는 조치를 취해야만 종전선언을 비롯한 체제보장, 제재완화 등 미국의 '상응조치'가 가능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에서 비핵화 의제만큼 중요한 임무는 2차 미북정상회담 일정과 장소의 조율이다.

현재로선 11월에 2차 미북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이 크다. 폼페이오 장관은 미 CBS 인터뷰에서 "2차 미북정상회담 개최일정은 10월보다 10월 이후가 될 가능성이 더 크다"고 밝혔다. 만약 10월 방북 협상에서 북한의 핵시설 신고나 사찰 검증 약속 등 전격적인 합의가 뒷받침된다면 11월 6일로 예정된 미국 중간선거 전인 10월에 2차 정상회담 개최가 가능하다는 관측도 나온다. 우리 정부는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에서 1차로 빅딜을 약속하고 2차 미북정상회담에서 양 정상이 '확약'한 다음 12월 김 위원장의 서울방문과 함께 종전선언으로 이어지는 결실을 맺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걸고 있다.

김미경기자 the13ook@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