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전국 청약통장(주택청약종합저축, 청약예금·부금, 청약저축) 가입자 수는 2406만3705명을 기록했다. 2016년 1월 처음으로 2000만명을 돌파한 이후 2년 7개월 만에 약 400만명이 청약시장으로 유입됐다.
100만명 단위의 기록도 지난해 4월 2200만명을 넘은 이후 올해 1월 2300만명을 깨기까지 9개월이 걸렸으나 이번 2400만명 달성은 7개월로 줄었다.
청약통장 가입자 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난 것은 지난 2∼3년간 재개발·재건축 사업 활기로 서울·경기 등 인기 지역의 새 아파트 분양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부터 규제지역의 청약가점제 대상이 확대되고 위장전입·불법 청약 등 정부 단속도 강화돼 유주택자 당첨 확률은 낮아졌지만 무주택자들을 중심으로 꾸준히 통장 가입에 나서고 있는 것이다.
특히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분양보증을 내주지 않는 방식으로 강남 등 주요 지역의 고분양가 통제에 나서면서 청약 당첨=시세차익 보장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은 것도 청약통장 증가에 한몫한 것으로 보인다. 청약통장 이자가 일반 시중은행 정리예금 금리보다 높다 보니 한 번 가입한 통장은 해약도 많지 않다.
만능통장으로 불리는 주택청약종합저축 가입자 수는 지난달 말 기준 2216만9706명으로 지난달보다 16만2660명이 늘었다. 이 가운데 1순위 가입자 수가 절반이 넘는 1135만명에 달한다.
인천·경기지역 가입자 수가 691만938명으로 가장 많고 서울이 557만3507명으로 그다음이다.
반면 청약저축과 청약예금·부금 가입자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015년 9월부터 청약통장이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일원화돼 이들 통장의 신규 가입이 중단됐기 때문이다.
현재 청약예금 가입자 수는 올해 1월 115만2848명에서 113만1057명, 청약저축은 올해 1월 57만9884명에서 54만3549명으로 줄었다. 또 청약부금은 23만4276명에서 21만9393명으로 감소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청약통장 가입 수요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우리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 안명숙 부장은 "정부가 신혼희망타운에 이어 9·21 공급대책에서 서울과 분당 등 1기 신도시 사이에 '3기 신도시' 4∼5곳을 건설하기로 하는 등 2025년까지 수도권에서만 30만호를 추가 공급하기로 함에 따라 앞으로 청약을 통한 내집마련 수요가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2주택 이상자는 청약조정지역 내에서 1순위 청약자격이 없고 앞으로 1주택자의 추첨제 물량 당첨 확률도 크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유주택 청약통장 수요는 줄어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