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등 영향 7월 지수 102.6
전년비 1.3%↓ 역대 최대 감소폭
우리 제조업 생산 능력이 다섯 달 연속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경제 기초 체력 고갈의 의미하는 것이어서 우려된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102.6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3%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71년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다.
생산능력지수는 인력·설비·조업시간 등이 정상적으로 생산에 투입되는 상황에서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 가능량을 지수로 나타낸 것이다. 생산능력지수는 2015년 연간을 100%으로 두고 비교한 것으로, 2015년과 비교해 2.6% 증가에 그쳤다는 뜻이다. 전년 대비 생산능력지수는 지난 3월부터 매달 최대 감소폭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3월 지수는 102.9로 1년 전보다 0.6% 감소하면서 기존 기록인 작년 12월 0.5%의 감소폭을 깼다. 감소폭은 매달 커지고 있다. 4월 -1.0%, 5월 -1.0%, 6월 -1.1%, 7월 -1.3%였다.
올해 생산능력지수가 전달보다 증가한 달은 2월(0.1%)과 5월(0.2%) 뿐이었다. 산업별로 보면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조선·해운이 속한 기타 운송장비와 자동차가 속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감소가 계속되고 있다.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지수는 올해 1월(78.4) 70대로 진입한 뒤 지속 감소해 7월에는 72.0을 기록했다. 선박 및 보트 건조업의 7월 지수는 68.3%를 나타냈다. 지난 2015년 1월 104.3에서 지속 하락해, 60대까지 떨어진 것이다.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은 지난해 11월 105.9까지 올랐지만, 12월부터 계속 떨어져 올해 7월에는 101.5%까지 하락했다. 특히 산업현장의 고령화는 상당한 수준이다. 지난 5월 기준 제조업 취업자 중 55~79세는 전체 취업자의 19.2%를 차지했다. 5년 전보다 6.5%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같은 기간 전체 취업자의 고령자 비율이 4.9%포인트 높아진 점을 고려하면 제조업 부문에서 고령화가 더 심화된 것으로 판단된다.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제조업 경쟁력과 고용 창출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반도체 등이 우리 경제를 계속 견인할 수 있을지 고찰이 필요하다"며 "전통 제조업뿐 아니라 미래 제조업을 위해 어떻게 산업구조를 바꿔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조은국기자 ceg4204@
전년비 1.3%↓ 역대 최대 감소폭
우리 제조업 생산 능력이 다섯 달 연속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경제 기초 체력 고갈의 의미하는 것이어서 우려된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7월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102.6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3%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71년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세다.
생산능력지수는 인력·설비·조업시간 등이 정상적으로 생산에 투입되는 상황에서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 가능량을 지수로 나타낸 것이다. 생산능력지수는 2015년 연간을 100%으로 두고 비교한 것으로, 2015년과 비교해 2.6% 증가에 그쳤다는 뜻이다. 전년 대비 생산능력지수는 지난 3월부터 매달 최대 감소폭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3월 지수는 102.9로 1년 전보다 0.6% 감소하면서 기존 기록인 작년 12월 0.5%의 감소폭을 깼다. 감소폭은 매달 커지고 있다. 4월 -1.0%, 5월 -1.0%, 6월 -1.1%, 7월 -1.3%였다.
올해 생산능력지수가 전달보다 증가한 달은 2월(0.1%)과 5월(0.2%) 뿐이었다. 산업별로 보면 구조조정의 영향으로 조선·해운이 속한 기타 운송장비와 자동차가 속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감소가 계속되고 있다.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지수는 올해 1월(78.4) 70대로 진입한 뒤 지속 감소해 7월에는 72.0을 기록했다. 선박 및 보트 건조업의 7월 지수는 68.3%를 나타냈다. 지난 2015년 1월 104.3에서 지속 하락해, 60대까지 떨어진 것이다.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은 지난해 11월 105.9까지 올랐지만, 12월부터 계속 떨어져 올해 7월에는 101.5%까지 하락했다. 특히 산업현장의 고령화는 상당한 수준이다. 지난 5월 기준 제조업 취업자 중 55~79세는 전체 취업자의 19.2%를 차지했다. 5년 전보다 6.5%포인트 높아진 수치다. 같은 기간 전체 취업자의 고령자 비율이 4.9%포인트 높아진 점을 고려하면 제조업 부문에서 고령화가 더 심화된 것으로 판단된다.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제조업 경쟁력과 고용 창출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반도체 등이 우리 경제를 계속 견인할 수 있을지 고찰이 필요하다"며 "전통 제조업뿐 아니라 미래 제조업을 위해 어떻게 산업구조를 바꿔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조은국기자 ceg4204@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