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예진수선임기자] 한미 간 기준금리 역전으로 금리 격차가 0.25%포인트 확대되면 15조원의 외국인 자본 감소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6일 '한미 기준금리 역전 현상 지속의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한미간 기준금리 역전 현상이 장기화할 경우 한국이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따른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 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한미 간 금리 격차가 0.25%포인트 확대되면 국내에 유입돼 있는 단기자본인 포트폴리오 투자 8조원,직접투자 7조원 등 총 15조원(국내총생산 대비 0.9%)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봤다.
한경연의 시계열분석(VAR) 결과에 따르면 한미간 금리역전은 외국인투자, 특히 포트폴리오(주식, 채권) 투자자본의 유출압력을 상승시킨다. 금리 차로 발생하는 충격 외에도 외국인 자본 유출입에 따른 해외변동성 충격, 생산성 충격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신흥국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진행되고 있고, 국내경기도 점진적인 하강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한미 금리격차 확대는 외국인 자본에 대한 유출압력을 증폭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금리역전이 장기화할 경우 높아지는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성에 노출돼 외국계자본의 급격한 유출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경연은 정책적 대응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외국인 자본은 가장 저렴하게 조달할 수 있는 투자 재원 중 하나지만 대내외적 충격으로 유출이 본격화되기 시작하면 직접적인 통제가 어려운 속성이 있다"며 "금리 격차 확대로 외국인 자본에 대한 유출 압력이 높아진 지금 상황에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로 인한 대규모 유출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5∼26일(현지시간) 열리고 있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 0.25% 인상이 예상되며, 이 경우 한미 기준금리 격차는 최고 0.75% 포인트까지 벌어질 전망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9월에 이어 올해 한 차례 더 금리를 올릴 경우 자본유출 트리거(방아쇠)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한국도 10월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인상 여부를 놓고 격론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예진수선임기자 jinye@dt.co.kr
.
한국경제연구원은 26일 '한미 기준금리 역전 현상 지속의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한미간 기준금리 역전 현상이 장기화할 경우 한국이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따른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며 이 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한미 간 금리 격차가 0.25%포인트 확대되면 국내에 유입돼 있는 단기자본인 포트폴리오 투자 8조원,직접투자 7조원 등 총 15조원(국내총생산 대비 0.9%)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봤다.
한경연의 시계열분석(VAR) 결과에 따르면 한미간 금리역전은 외국인투자, 특히 포트폴리오(주식, 채권) 투자자본의 유출압력을 상승시킨다. 금리 차로 발생하는 충격 외에도 외국인 자본 유출입에 따른 해외변동성 충격, 생산성 충격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신흥국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가 진행되고 있고, 국내경기도 점진적인 하강국면에 접어들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한미 금리격차 확대는 외국인 자본에 대한 유출압력을 증폭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금리역전이 장기화할 경우 높아지는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정성에 노출돼 외국계자본의 급격한 유출에 대한 우려가 현실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경연은 정책적 대응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이승석 한경연 부연구위원은 "외국인 자본은 가장 저렴하게 조달할 수 있는 투자 재원 중 하나지만 대내외적 충격으로 유출이 본격화되기 시작하면 직접적인 통제가 어려운 속성이 있다"며 "금리 격차 확대로 외국인 자본에 대한 유출 압력이 높아진 지금 상황에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로 인한 대규모 유출 위험을 줄이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25∼26일(현지시간) 열리고 있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 0.25% 인상이 예상되며, 이 경우 한미 기준금리 격차는 최고 0.75% 포인트까지 벌어질 전망이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9월에 이어 올해 한 차례 더 금리를 올릴 경우 자본유출 트리거(방아쇠)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기 침체를 겪고 있는 한국도 10월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 인상 여부를 놓고 격론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예진수선임기자 jinye@dt.co.kr
.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