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고용절벽'이 심화하자,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관계부처 장관들과 긴급 경제현안 간담회를 열고 대책을 논의했다.
김 부총리는 1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장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경제현안 간담회'를 열었다.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중소벤처기업부, 보건복지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부처 장관과 국무조정실장, 공정거래·금융위원장, 청와대 일자리·경제수석 등이 참석했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1년 전보다 5000 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월평균 30만명을 넘었던 취업자 증가 폭은 올해 6개월 연속 10만 명대 이하에 머물렀고 실업자는 7개월 연속 100만명을 넘었다.
참석자들은 생산가능인구 감소, 주력산업 고용창출력 저하, 자동화 등 구조적 요인과 함께 구조조정, 자영업 업황부진 등 경기 요인이 고용부진에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판단했다.
또 최저임금 인상 영향도 일부 업종·계층에서 나타나고 있어 그 영향을 더 면밀히 살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부는 할 수 있는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해 고용상황을 개선 추세로 전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일자리 사업과 추가경정예산안 사업 집행을 가속하고, 4조원 규모의 재정보강 패키지를 신속하게 추진하기로 했다. 조은애기자 eunae@dt.co.kr
김동연 부총리, 긴급경제현안간담회 주재 (서울=연합뉴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고용 관련 긴급경제현안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2018.8.17 [기획재정부 제공] photo@yna.co.kr (끝)
김 부총리는 17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장관들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경제현안 간담회'를 열었다.
고용노동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중소벤처기업부, 보건복지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관계부처 장관과 국무조정실장, 공정거래·금융위원장, 청와대 일자리·경제수석 등이 참석했다.
통계청이 이날 발표한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는 1년 전보다 5000 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지난해 월평균 30만명을 넘었던 취업자 증가 폭은 올해 6개월 연속 10만 명대 이하에 머물렀고 실업자는 7개월 연속 100만명을 넘었다.
참석자들은 생산가능인구 감소, 주력산업 고용창출력 저하, 자동화 등 구조적 요인과 함께 구조조정, 자영업 업황부진 등 경기 요인이 고용부진에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판단했다.
또 최저임금 인상 영향도 일부 업종·계층에서 나타나고 있어 그 영향을 더 면밀히 살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부는 할 수 있는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해 고용상황을 개선 추세로 전환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일자리 사업과 추가경정예산안 사업 집행을 가속하고, 4조원 규모의 재정보강 패키지를 신속하게 추진하기로 했다. 조은애기자 eunae@dt.co.kr
![김동연 부총리, 긴급경제현안간담회 주재 (서울=연합뉴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고용 관련 긴급경제현안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2018.8.17 [기획재정부 제공] photo@yna.co.kr (끝)](https://wimg.dt.co.kr/news/legacy/contents/images/201808/2018081702100158053002[1].jpg)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