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신남방정책에 발맞춰 진출
금감원 해외 조직 폐쇄 ‘엇박자’
실적 위주에 감사원 평가가 원인
홍콩·싱가포르 등 지원 공백상태
최근 국내 금융사의 동남아시아 등 해외 진출이 크게 늘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가 아세안 국가들과 경제·외교 협력을 강화하는 '신남방 정책'을 추진하면서 금융사의 동남아 진출은 더욱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금융사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해야 할 금융감독원의 해외조직은 크게 축소하고 있어 주목된다.
현지 금융당국과 긴밀한 협조가 필요한 시기에 정작 정책 당국의 행보는 거꾸로 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국내 금융사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해오던 홍콩사무소가 내달 폐쇄된다. 또 금감원이 세계 금융 허브로 손꼽히는 싱가포르에 신설하려던 사무소 계획도 백지화됐다.
현재 금감원은 홍콩 외에 미국 뉴욕과 워싱턴, 영국 런던, 독일 프랑크푸르트, 일본 도쿄, 베트남 하노이, 중국 베이징 등 8개 해외사무소에 모두 20여 명의 인력을 파견해 금융사 진출을 돕고 있다. 하지만 이 사무소들 존폐 여부도 불투명하다. 감사원이 금감원 해외사무소가 별다른 효용가치가 없고, 쓸데 없이 예산을 낭비한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감사원은 금감원 8개 해외사무소 업무실적을 분석한 결과 인터넷 등으로 국내에서 수집 가능한 정보가 대부분이었다며, 8개 해외사무소에 20명을 배치해 연간 78억원을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감사원이 보고서 실적만 가지고 평가했는데, 해외 사무소는 보고서 외에도 현지 규제당국과 긴밀히 협력해 현지의 변화된 법규와 제도를 사전에 파악하고, 국내 금융사 진출을 전문 컨설팅하고 있다"며 "최근 국내 금융사가 동남아 진출을 활발히 하고 있는데, 대표적 금융허브인 홍콩과 싱가포르에 진출 지원 조직이 없다는 건 국가적 손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과거 태국에 진출했던 국내 은행들이 바트화 폭락 사태로 현지 정부의 간곡한 부탁에도 현지 영업점을 폐쇄하고 철수했는데, 최근 다시 태국에 들어가려고 하니 태국 정부가 한국 은행은 받아주지 않고 있다"며 "현지 대사관이 있다고 해도 금융당국과 끊임없이 소통할 수 있는 금융 전문 지원조직이 필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은 외교부의 대사관, 산업통상자원부의 상무관을 비롯해 정부 예산 지원을 받는 다양한 지원센터들이 있지만, 금융사를 위한 전문 지원 기구나 조직은 금감원 해외사무소가 유일하다.
최근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국내 금융사 관계자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해마다 한국 인력은 줄이고, 현지 인력 채용을 요구하고 있어 사업을 추진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우리 금융당국이 현지 당국과 협의해 이 같은 어려움을 해소해주면 좋겠는데, 현재로선 우리 금융당국의 지원은 받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 금융사의 해외점포는 지난 2011년 359개에서 지난해 말 431개로 20% 가량 늘어났다. 431개 점포 가운데 약 70%(299개)가 아시아 지역에 몰려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64개)이 가장 많고, 이어 베트남(50개) 홍콩(35개) 인도네시아(24개) 등의 순이었다.
국내 저금리와 수수료 수익 감소에 따라 국내 은행과 신용카드사 등은 금융 시장 성장성이 높은 동남아 진출을 적극 타진하고 있다.
김승룡·김민수기자 srkim@dt.co.kr
금감원 해외 조직 폐쇄 ‘엇박자’
실적 위주에 감사원 평가가 원인
홍콩·싱가포르 등 지원 공백상태
최근 국내 금융사의 동남아시아 등 해외 진출이 크게 늘고 있다. 특히 문재인 정부가 아세안 국가들과 경제·외교 협력을 강화하는 '신남방 정책'을 추진하면서 금융사의 동남아 진출은 더욱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정작 금융사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해야 할 금융감독원의 해외조직은 크게 축소하고 있어 주목된다.
현지 금융당국과 긴밀한 협조가 필요한 시기에 정작 정책 당국의 행보는 거꾸로 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국내 금융사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해오던 홍콩사무소가 내달 폐쇄된다. 또 금감원이 세계 금융 허브로 손꼽히는 싱가포르에 신설하려던 사무소 계획도 백지화됐다.
현재 금감원은 홍콩 외에 미국 뉴욕과 워싱턴, 영국 런던, 독일 프랑크푸르트, 일본 도쿄, 베트남 하노이, 중국 베이징 등 8개 해외사무소에 모두 20여 명의 인력을 파견해 금융사 진출을 돕고 있다. 하지만 이 사무소들 존폐 여부도 불투명하다. 감사원이 금감원 해외사무소가 별다른 효용가치가 없고, 쓸데 없이 예산을 낭비한다고 지적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9월 감사원은 금감원 8개 해외사무소 업무실적을 분석한 결과 인터넷 등으로 국내에서 수집 가능한 정보가 대부분이었다며, 8개 해외사무소에 20명을 배치해 연간 78억원을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감사원이 보고서 실적만 가지고 평가했는데, 해외 사무소는 보고서 외에도 현지 규제당국과 긴밀히 협력해 현지의 변화된 법규와 제도를 사전에 파악하고, 국내 금융사 진출을 전문 컨설팅하고 있다"며 "최근 국내 금융사가 동남아 진출을 활발히 하고 있는데, 대표적 금융허브인 홍콩과 싱가포르에 진출 지원 조직이 없다는 건 국가적 손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과거 태국에 진출했던 국내 은행들이 바트화 폭락 사태로 현지 정부의 간곡한 부탁에도 현지 영업점을 폐쇄하고 철수했는데, 최근 다시 태국에 들어가려고 하니 태국 정부가 한국 은행은 받아주지 않고 있다"며 "현지 대사관이 있다고 해도 금융당국과 끊임없이 소통할 수 있는 금융 전문 지원조직이 필요한 이유"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 기업의 해외진출 지원은 외교부의 대사관, 산업통상자원부의 상무관을 비롯해 정부 예산 지원을 받는 다양한 지원센터들이 있지만, 금융사를 위한 전문 지원 기구나 조직은 금감원 해외사무소가 유일하다.
최근 인도네시아에 진출한 국내 금융사 관계자는 "인도네시아 정부가 해마다 한국 인력은 줄이고, 현지 인력 채용을 요구하고 있어 사업을 추진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우리 금융당국이 현지 당국과 협의해 이 같은 어려움을 해소해주면 좋겠는데, 현재로선 우리 금융당국의 지원은 받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에 따르면 국내 금융사의 해외점포는 지난 2011년 359개에서 지난해 말 431개로 20% 가량 늘어났다. 431개 점포 가운데 약 70%(299개)가 아시아 지역에 몰려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64개)이 가장 많고, 이어 베트남(50개) 홍콩(35개) 인도네시아(24개) 등의 순이었다.
국내 저금리와 수수료 수익 감소에 따라 국내 은행과 신용카드사 등은 금융 시장 성장성이 높은 동남아 진출을 적극 타진하고 있다.
김승룡·김민수기자 srkim@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