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통계청의 소비자물가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석유류 가격이 1년 전보다 12.5% 뛰며 전체 물가를 0.54%포인트 끌어올렸다.
경유 가격은 14.6%, 휘발유 가격은 11.8% 올랐다.
경유는 작년 3월(18.2%) 이후 1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한국석유공사가 운영하는 유가 정보 사이트 오피넷에 따르면 1일 휘발유 가격 전국 평균은 ℓ당 1천614.05원이고 최저가는 1천518원, 최고가는 2천298원이다.
경유 값 전국 평균은 1414.69원, 최저가는 1308원, 최고가는 2125원이다.
개인 서비스 요금은 2.2% 오르면서 전체 물가를 0.72%포인트 높였다.
외식비가 2.7%, 외식 외 개인서비스 물가가 1.9% 올랐다.
채소류 물가는 한 달 전보다 3.7% 상승했다. 폭염에 작황이 좋지 않았다.
전월과 비교한 채소류 물가 상승률은 2월 16.7% 이후 3∼6월에 4개월 연속 하락하다가 이달 반등했다.
시금치가 6월보다 50.1%나 치솟았고 배추 39.0%, 상추 24.5%, 열무 42.1% 등도 가격이 껑충 뛰었다.
다만 작년 동월에 비하면 채소류 물가는 1.0% 하락했다.
통계청은 소비자가 체감하는 채소류 물가 상승률은 높지만, 채소값이 작년 7월에도 워낙 높았던 탓에 지표로는 1년 전에 비해 하락한 것으로 나왔다고 평가했다.
지난달 농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4.2% 상승했다.
쌀(33.3%), 고춧가루(41.6%), 고구마(28.8%) 등의 가격 상승이 두드러졌다.
체감물가를 보여주기 위해 자주 구입하고 지출 비중이 큰 141개 품목을 토대로 작성한 '생활물가지수'는 작년 동월대비(이하 동일) 1.5% 상승했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한 '신선식품지수'는 0.1% 올랐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따른 물가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물가상승률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1% 상승했다.
단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5% 높았다. 1년 전과 비교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9월 2.1%에서 10월 1.8%로 낮아진 이래 줄곧 1%대에 머물렀다.
물가상승률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볼 수 있는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1.0% 높아졌다. 조은애기자 eunae@dt.co.kr
휘발유 전국 평균가 41개월만에 최고 (서울=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21일 한국석유공사 유가 정보 서비스인 '오피넷'에 따르면 7월 셋째주 국내 주유소에서 판매된 보통 휘발유 가격은 전주보다 ℓ당 평균 1.7원 오른 1천611.6원을 기록해 3년 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까지 올랐다. 사진은 22일 서울시내 한 주유소 모습. 2018.7.22 seephoto@yna.co.kr (끝)
치솟은 건고추 가격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최근 김치에 들어가는 채소 가격이 최대 70%까지 치솟은 것으로 조사됐다. 19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발표한 '주요 농산물 주간 거래 동향'에 따르면 잦은 비와 재고 부족 등으로 이들 채소의 가격이 상승세를 보였다. 이달 16일 소매 기준으로 건고추(화건·600g·상품)는 1만7천193원을 기록해 평년 7월 중순 가격인 1만367원을 크게 웃돌았다. 사진은 이날 서울 시내 한 마트 내 건고추 진열대의 모습. 2018.7.19 pdj6635@yna.co.kr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