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모비스, 2020년 양산 목표

[디지털타임스 김양혁 기자]현대모비스가 자율주행 중 어떤 상황에서도 운전대를 안전하게 유지하는 첨단 조향 장치(사진) 개발에 성공했다. 올해 연말까지 검증 작업을 거친 뒤 오는 2020년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개발을 계기로 현대모비스의 자율주행시스템 독자 개발 계획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 상황에서 두 개의 전자 회로를 활용한 듀얼 제어 방식으로 항상 정상적인 조향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신개념 전동식 조향 장치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운전자 안전을 보장하는 기술로, 아직 양산 사례가 없는 신기술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운전자 조작 없이 차가 스스로 운행하는 자율주행 환경에서 조향 장치의 정상작동은 승객 안전과 직결되는 필수 사항이다. 자율 주행 중 조향 장치에 예상하지 못한 오류가 발생하면 운전대를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없어 정상적인 주행이 어렵워 관련 업계에서는 이런 상황에도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경쟁이 치열하다.

현대모비스가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이런 갑작스러운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듀얼시스템이 스스로 고장 여부를 판단해 핸들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운전자가 안정적으로 자율주행을 할 수 있다. 조향 장치 이상 시 운전자가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과 달리, 자율주행 중에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지 않기 때문에 조향 장치에 이상이 생기면 운전자가 즉시 개입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착안한 것이다.

이를 위해 장치에 들어가는 핵심 전자 부품(센서, ECU, 모터 등)을 모두 이중으로 설계했다. 하나의 조향 장치 안에 두 개의 독립된 전자 회로를 적용해 하나가 고장 나더라도 나머지 회로가 정상 작동해 안정적인 주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현대모비스는 현재 기술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실도로 시험 등 신뢰성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올해 연말까지 고속도로나 도심, 주차 상황 등 일반적인 주행 환경에 대응한 검증 작업을 마친 뒤 오는 2020년 양산을 목표로 한다.

이번 기술 개발로 현대모비스의 자율주행시스템 독자 개발 계획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회사는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핵심 기술인 레이더, 카메라, 라이더 등 모든 센서를 오는 2020년까지 독자 개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김세일 현대모비스 샤시·의장연구소장은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에 필요한 다양한 시스템을 패키지로 제공하는 역량을 갖춘 만큼 향후 시장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양혁기자 mj88@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