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박정일 기자]삼성전자의 사상최대 이익 행진에 제동이 걸렸다. 2분기 영업이익이 시장 기대치인 15조원을 밑돌면서다. 반도체와 소비자가전(CE) 부문은 호조였지만, 디스플레이와 스마트폰 부문에서 만족스럽지 않은 성적이 나와 가팔랐던 실적 증가세에 제동이 걸렸을 거란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3분기에는 사상최대인 영업이익 16조원 시대를 열 것이란 기대감도 나온다.
삼성전자는 6일 올해 2분기(4∼6월) 연결 기준 잠정 실적이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9% 감소한 58조원으로, 영업이익은 5.2% 늘어난 14조000천억원으로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이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던 직전 분기(15조6420억원)보다는 5.4% 줄어든 수준이다.
잠정실적이어서 사업부문별 구체적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와 모바일 사업부의 영향이 컸을 것으로 추정된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액정표시장치(LCD) 패널 가격 하락과 플렉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물량 감소 등이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특히 LCD 가격 하락으로 2분기 해당 사업은 적자 전환 가능성도 제기되는 상황이다.
IM(IT&모바일) 사업부도 물량 감소, 평균판매단가(ASP) 하락, 마케팅 비용 증가 등이 겹쳐 영업이익률이 하락했을 걸로 점쳐진다.
반면 반도체와 소비자가전(CE) 사업부가 그나마 2분기 실적에서 효자 노릇을 했을 거라는 분석이 많다.
IBK투자증권은 해당 사업부 영업이익이 1분기보다 5.6% 늘어난 12조1천830억원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CE 사업부는 TV 부문 영업이익이 크게 개선됐을 가능성이 크다. 월드컵을 앞두고 물량이 증가했고 패널 가격은 하락한 덕분에 이익률이 개선됐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분기에는 중저가 TV 라인업 축소 등 재편 작업과 생활가전의 수익성 둔화로 약 3천억원 수준의 영업이익에 그쳤지만, 2분기에는 약 5천억원 수준이 됐을 것으로 증권가는 예상하고 있다.
2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밑돌았지만, 3분기는 다시 사상 최대 실적행진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많다.
한화투자증권은 삼성전자가 오는 3분기에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순학 연구원은 "삼성전자 주가는 액면분할 이후 약 2개월간 약세를 면치 못했다"며 "스마트폰 사업 부진 영향으로 2분기 실적 우려가 커진 탓"이라고 진단했다.
이 연구원은 "3분기에도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부문이 실적 개선을 견인할 것"이라며 "반도체는 계절적 성수기에 힘입어 출하량 증가세가 지속하고 디스플레이 부문은 북미 고객향 하반기 신모델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공급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3분기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64조7000억원과 16조8000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이라며 삼성전자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6만6000원을 각각 유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