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산림협력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민통선 이북지역(민북지역) 산림에 대한 통합 관리가 진행된다.

산림청은 민북지역을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추가 지정하고 '제2차 민북지역 산지관리계획'을 마련한다고 6일 밝혔다.

민북지역은 군사분계선 남방 10∼15㎞ 지역으로, 인천과 경기, 강원 등 3개 시도, 9개 시·군에 걸쳐 있으며 면적이 16만㏊에 달한다. 오랜 기간 민간인 출입이 통제돼 산림생물다양성이 풍부해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히 산림비율이 전체 면적의 70%(11만㏊)에 이르고, 이중 국유림 면적은 6만㏊로, 지역 내 국유림 비율이 54%에 달한다.

산림청은 민북지역의 산림자원 보전과 생태계 복원을 위해 2009년부터 현재까지 134억원을 투입해 국유림을 주요 거점별로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우선 민북지역의 산림자원 보존을 위해 국유림 4만5000㏊를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했으며, 앞으로 추가 지정할 계획이다.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 산림의 식물 유전자원과 생태계 보전을 위해 입목 벌채, 임산물 채취, 가축 방목, 토지형질 변경 등 개발행위가 제한된다.

또 민북지역 9개 시·군 중 8개 시·군을 관할하는 북부지방산림청은 올해 '제2차 민북지역 산지관리계획'을 수립해 2027년까지 10년 동안 산지보전과 재해예방, 산림복지서비스 기반 확충, 주민소득사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민북지역에 자생하는 식물 다양성을 보전·연구하기 위한 활동에도 나서 2016년 강원도 양구에 있는 우리나라 최북단 수목원인 'DMZ 자생식물원'을 개원하고, 북방 식물자원으로 보존·관리하고 있다.

지난 1월에는 양구를 거점으로 철원, 화천, 인제 등 민북지역 국유림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 기존 '양구국유림관리소'를 '민북지역 국유림관리소'로 변경하고 조직을 개편하는 등 산림통합관리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류광수 산림청 차장은 "민북지역은 멸종위기식물 등 다양한 자생식물이 서식하는 식물자원의 보고로, 산림생태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며 "민북지역이 한반도 생태축으로 기능을 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전=이준기기자 bongchu@dt.co.kr

민통선 이북지역으로 불리는 '민북지역'이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추가 지정돼 산림 통합관리체계 를 마련하게 된다. 사진은 인천, 경기, 강원 등 12개 시·도에 걸쳐 있는 민북지역의 지형도.
민통선 이북지역으로 불리는 '민북지역'이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추가 지정돼 산림 통합관리체계 를 마련하게 된다. 사진은 인천, 경기, 강원 등 12개 시·도에 걸쳐 있는 민북지역의 지형도.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준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