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타임스 박정일 기자]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전쟁이 전면전 양상으로 확산할 기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4배의 추가보복 관세를 경고했고, 중국 역시 강력한 반격을 하겠다고 즉각 대응하면서 G2간 무역전쟁의 암운이 짙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성명에서 "중국이 다시 관세를 늘린다면, 미국은 2000억 달러(220조6000억원)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관세 부과로 대응할 것"이라며 "미 무역대표부(USTR)에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할 중국산 제품들을 알아보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는 중국에 추가 보복 조치를 하겠다는 뜻을 시사한 것이다. 이에 앞서 미국은 자국 무역법 301조를 적용해 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25%의 관세 부과 방침을 내놓았고, 이에 중국도 같은 규모로 보복관세를 매긴다고 밝힌 적이 있다. 그러자 트럼프는 한발 더 나아가 중국 정부가 500억 달러 규모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이의 4배에 달하는 추가 보복 조치 카드를 빼내 든 것이다. 양측의 관세 부과는 내달 6일부터 단계적으로 시작한다.
역사적 첫 북미정상회담이 열린 12일 오후 싱가포르 센토사 섬 카펠라호텔에서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8.6.12 [싱가포르 통신정보부 제공=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은 부당한 관행을 바꿔 나갈 의지를 전혀 갖고 있지 않다"며 "그런 관행을 바꾸는 대신 아무 잘못을 하지 않은 미국 기업, 노동자들, 농부들을 위협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중국 상무부는 19일 트럼프 대통령의 경고에 대해 "중국도 강력한 반격 조처를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반격했다. 상무부는 이날 미국 측 경고와 관련한 담화를 내고 "이런 극단적인 압력과 위협은 양국의 협상 합의를 위배하고 국제사회를 매우 실망하게 하는 처사"라며 "만약 미국이 이성을 잃고 관세 조치를 실행하면 중국도 부득이 수량과 질량 측면에서 상호 결합한 종합적 조치를 취해 강력한 반격 조치를 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중국 상무부는 그러면서 "중국의 대응 조치는 중국 국가와 인민의 이익뿐만 아니라 자유무역 체계, 인류 공동 이익을 지키기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중국 정부가 미국과의 힘겨루기에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주는 모습으로 보인다. 기 싸움에서 물러서지 않는 한 보복의 악순환이 불가피하다.
미·중 무역전쟁이 극한 대치 양상으로 전개하면서 세계 경제는 얼어붙고 있다. 중국 증시에서 선전 종합 지수는 이날 오전 11시 19분(이하 한국 시간) 전날 종가보다 2.12% 내렸고, 상하이 종합 지수는 1.56% 떨어졌다. 일본 증시도 1% 가까운 하락세를 보였다. 닛케이 225 지수는 0.91%, 토픽스 지수는 0.81% 하락 거래됐다. 코스피 지수 역시 2시30분 현재 1% 가까이 하락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도 18일(현지시간) 전 거래일보다 103.01포인트(0.41%) 내린 24,987.47에 거래를 마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