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는 신체 중에서도 움직임이 가장 많은 곳으로 그만큼 손상이 일어나기도 쉬운 기관이다. 특히 이에 더해 퇴행성 변화가 시작되는 시기를 다다랐다면, 어깨 손상의 위험성도 커지게 된다. 실제로 특별한 원인 없이도 50세 이후에 심한 어깨 통증과 더불어 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의심해볼 수 있는 질환은 바로 오십견이다.

해당 질환은 어깨관절을 감싸고 있는 관절낭에 염증이 발생하면서 어깨가 단단하게 굳어 통증을 느끼게 되는 질환이다. 이러한 통증은 어깨를 움직일 때 더욱 심해지며, 수면 시 극심해지는 경향을 보여 수면장애까지 초래할 수 있다. 이름 그대로 50대에게 발생하는 경우가 대다수였지만, 최근에는 운동 부족, 잘못된 자세 및 생활 습관 등의 이유로 30~40대 환자들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일반적으로 해당 질환은 1, 2년 이내에 자유 치유되는 질환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치유되는 기간이 너무 길고, 시간이 지나도 증상이 남아있는 경우가 있어 방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어깨 통증과 함께 어깨 관절 운동 범위가 제한된다면 해당 질환을 의심하고 병원에 내원해 치료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어떠한 질환이든 조기에 치료할 경우 치료 시간도 적게 걸리고 고통받는 기간도 줄어들듯이, 해당 질환 또한 증상이 심하지 않는 초기에 치료받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만약 조기에 발견해 치료를 받아야 한다면, 연골의 손상이 진행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어깨 관절 내시경 같은 치료법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는 보존적 치료 이후에도 호전을 보이지 않았을 경우 시행되는 치료로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가자연세병원 김포점의 박종현 병원장은 "해당 질환을 치료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상태가 악화되기 전에 치료하는 것이다. 오십견은 자가회복질환이라고도 알려져 있지만, 이것만 믿고 방치해서는 위험성이 너무 크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증상이 의심이 된다면 상태가 악화되기 전에 병원에 내원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sysy3445@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