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김수연 기자] 국내 연구팀이 수천 개의 박막형 청색 마이크로 LED를 한 번에 플라스틱 위에 구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7일 한국연구재단은 이건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연구팀이 한국나노기술원과 협력해 이러한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마이크로 LED는 기존 LED 칩의 크기를 축소해 적·녹·청색의 발광소재로 사용하는 기술이다. 낮은 전력으로도 빠른 응답속도를 보인다는 게 마이크로 LED의 장점이다.

현재 산업계에서는 이러한 마이크로 LED를 두꺼운 미니 LED 칩을 소형화해 개별 전사하는 방식으로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는 수천만 화소의 디스플레이를 대량 생산하기 어렵고 제조 비용이 많이 든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연구팀은 올해 초 두께 2㎛ 이하의 박막형 적색 마이크로 LED를 개발했다. 이어 저비용으로 모든 색을 구현해 내기 위해 수천여개의 박막형 청색 마이크로 LED를 한 번에 플라스틱 위에 구현하는 원천기술을 개발했다.

이번에 개발한 청색 마이크로 LED는 수직형 박막 구조로 만들어졌다. 기존 수평형 박막 마이크로 LED보다 광효율이 3배 이상 높고 발열이 적어 10만 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다.

이건재 교수는 "올해 말까지 새 전사 방법을 활용해 스마트워치 급의 풀칼라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학술지인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의 5월 18일 자에 실렸다.

김수연기자 newsnews@dt.co.kr

이건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한국연구재단 제공>
이건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한국연구재단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김수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