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의 정대성 교수(사진) 연구팀이 유기 반도체와 투명전극 간의 접합 기술을 이용해 선명한 색을 구현하는 유기 이미지센서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미지센서는 카메라, CCTV, 자율주행차 등 영상촬영의 핵심요소다. 현재까지 상용화된 대부분 이미지센서는 실리콘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미지 센서에는 빛의 색상을 정확하게 알아내기 위해 컬러필터가 사용된다. 하지만 컬러필터는 가격이 비싸고 이미지센서의 두께를 두꺼워지게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연구팀은 유기 반도체를 기반으로 한 박막형 이미지센서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산화아연으로 만들어진 투명전극의 표면에서 나타나는 화학적 결함을 황 원자로 메워주는 방법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유기 반도체와 투명전극 간의 쇼트키 접합 특성을 극대화해 선명한 색상을 구현했다. 쇼트키 접합은 금속과 반도체를 접촉 시켰을 때 전류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는 현상이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태양전지, 박막 트랜지스터, 가스 센서 등 다양한 형태의 접합이 필요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공학 분야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즈'의 5월 30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으며 표지논문으로도 게재될 예정이다. 김수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