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과기정통부에 할당 신청서
[디지털타임스 정예린 기자]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가 4일 일제히 5세대 이동통신(5G) 주파수 할당 신청서를 제출한다. 이들이 내는 신청서에 따라 주파수 경매의 대략적인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3사 모두 전국망용인 3.5㎓ 대역에서 최대 폭인 100㎒를 확보하기 위해 전력을 다할 것으로 예측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이통3사는 4일 오후 2시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주파수 할당 신청서를 제출한다. 오후 2시 KT를 시작으로 3시 LG유플러스, 4시 SK텔레콤의 방문이 예정돼 있다. 서로 한 시간 간격의 차이를 두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방문할 만큼, 5G 주파수 확보 전략은 3사 모두에게 민감한 사항이다.
관건은 이날 주파수 할당신청서에 3사가 원하는 대역과 용량 폭을 얼마나 적어내느냐다. 이날 적어낸 목표치가 15일 진행될 주파수 경매에서 주파수의 양을 결정하는 1단계 1라운드의 전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경매 직전에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고심 끝에 결정한 양인 만큼 그대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과기정통부가 현재 공급 예정인 5G 주파수의 공급량은 △3.5㎓ 대역은 총 280㎒로 10㎒ 블록 28개 △28㎓ 대역은 총 2400㎒로 100㎒ 블록 24개가 나와 있다. 이 중 이통사들이 사활을 걸고 있는 대역은 전국망으로 사용될 3.5㎓ 대역이다. 3.5㎓ 대역에서 한 사업자가 가져갈 수 있는 최대치는 100㎒다.
업계는 이통3사가 모두 3.5㎓ 대역에 100㎒를 적어낼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3사 모두 3.5㎓ 대역에서 최대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5G의 품질로 직결될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미 3사는 자사가 유리한 최대 폭을 확보하기 위해 총량제한 문제로 한바탕 설전을 벌인 바 있다. 특히 가입자 수가 가장 많은 SK텔레콤의 경우 120㎒의 폭을 주장하기도 했다. 트래픽 처리를 위해서라도 SK텔레콤이 100㎒를 포기할 일은 없어 보인다. KT와 LG유플러스도 만만치 않다. 양사는 5G의 경우 주파수 10㎒ 폭당 최고속도가 약 240Mbps 차이가 난다며 용량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또 양사는 특히 5G를 통해 그동안 고착화해 있던 이동통신 시장의 5(SK텔레콤):3(KT):2(LG유플러스) 구조를 흔드는 꿈을 꾸고 있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3사 모두 100㎒ 폭을 쉽사리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처음은 무조건 100㎒로 간다고 봐야 한다"고 전망했다.
정예린기자 yeslin@
[디지털타임스 정예린 기자]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가 4일 일제히 5세대 이동통신(5G) 주파수 할당 신청서를 제출한다. 이들이 내는 신청서에 따라 주파수 경매의 대략적인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3사 모두 전국망용인 3.5㎓ 대역에서 최대 폭인 100㎒를 확보하기 위해 전력을 다할 것으로 예측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이통3사는 4일 오후 2시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주파수 할당 신청서를 제출한다. 오후 2시 KT를 시작으로 3시 LG유플러스, 4시 SK텔레콤의 방문이 예정돼 있다. 서로 한 시간 간격의 차이를 두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방문할 만큼, 5G 주파수 확보 전략은 3사 모두에게 민감한 사항이다.
관건은 이날 주파수 할당신청서에 3사가 원하는 대역과 용량 폭을 얼마나 적어내느냐다. 이날 적어낸 목표치가 15일 진행될 주파수 경매에서 주파수의 양을 결정하는 1단계 1라운드의 전략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경매 직전에 바뀔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지만, 고심 끝에 결정한 양인 만큼 그대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과기정통부가 현재 공급 예정인 5G 주파수의 공급량은 △3.5㎓ 대역은 총 280㎒로 10㎒ 블록 28개 △28㎓ 대역은 총 2400㎒로 100㎒ 블록 24개가 나와 있다. 이 중 이통사들이 사활을 걸고 있는 대역은 전국망으로 사용될 3.5㎓ 대역이다. 3.5㎓ 대역에서 한 사업자가 가져갈 수 있는 최대치는 100㎒다.
업계는 이통3사가 모두 3.5㎓ 대역에 100㎒를 적어낼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3사 모두 3.5㎓ 대역에서 최대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5G의 품질로 직결될 수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미 3사는 자사가 유리한 최대 폭을 확보하기 위해 총량제한 문제로 한바탕 설전을 벌인 바 있다. 특히 가입자 수가 가장 많은 SK텔레콤의 경우 120㎒의 폭을 주장하기도 했다. 트래픽 처리를 위해서라도 SK텔레콤이 100㎒를 포기할 일은 없어 보인다. KT와 LG유플러스도 만만치 않다. 양사는 5G의 경우 주파수 10㎒ 폭당 최고속도가 약 240Mbps 차이가 난다며 용량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또 양사는 특히 5G를 통해 그동안 고착화해 있던 이동통신 시장의 5(SK텔레콤):3(KT):2(LG유플러스) 구조를 흔드는 꿈을 꾸고 있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3사 모두 100㎒ 폭을 쉽사리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며 "처음은 무조건 100㎒로 간다고 봐야 한다"고 전망했다.
정예린기자 yeslin@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