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RCG 자회사 동반 부도로 채무불이행
해당 회사채 기초로 한 ABCP '날벼락'
신평사.증권사 등 직접 CERCG 면담키로
중국 에너지 기업인 중국국저에너지화공집단(이하 CERCG)의 자회사가 발행한 회사채 부도로 이를 기초자산으로 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편입 펀드의 손실이 불가피해졌다. ABCP를 발행한 주관사와 신용평가사, 해당 ABCP를 산 금융사들은 4일 중국을 방문해 CERCG와의 면담을 갖고 대응방안을 들어볼 예정이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중국교통은행은 CERCG이 지급보증한 홍콩 자회사 CERCG캐피탈의 달러표시 채권에 크로스디폴트(동반 채무불이행)가 발생했다고 공시했다.
CERCG가 지급보증한 또 다른 자회사 CERCG오버시즈캐피탈의 3억5000만달러(한화 약 3800억원) 규모의 채권이 부도나면서 동반 채무불이행 상태가 된 것이다.
현재 이 회사채를 기초자산으로 국내에서 발행된 ABCP는 총 1650억원에 달한다.
한화투자증권과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지난달 8일 SPC '금정제십이차'를 통해 크로스디폴트가 발생한 CERCG캐피탈 회사채를 기초자산으로 ABCP 165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이후 현대차투자증권과 BNK투자증권, KB증권, 유안타증권, 신영증권, KTB자산운용, 골든브릿지자산운용 등이 ABCP를 인수했다.
ABCP 채권단과 발행주관사, 신용평가사는 4일 중국을 찾아 CERCG와의 면담을 갖기로 했다. 이들은 면담을 통해 자회사 부도 사태의 발생 경위와 CERCG의 지급보증 채무에 대한 대응 방안을 파악할 계획이다.
신용평가사는 CERCG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해 ABCP에 대한 신용등급을 잘못 매겼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앞서 나이스신용평가와 서울신용평가는 CERCG를 중국의 공기업으로 분류하고 해당 ABCP에 각각 'A2'를 부여했다.
이같은 비난에 대해 신평사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나이스신평은 지난 1일 자료를 통해 "중국 공기업의 차이와 특성을 충분히 고려했다"며 "A2 등급 이상의 신용등급을 받았더라도 부도는 얼마든지 날 수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다른 채권에 대한 CERCG의 지급보증이 왜 이뤄지지 않았는지가 문제의 핵심"이라며 "CERCG와 면담을 통해 향후 CERCG가 지급보증한 채무에 대한 대응 방안 등을 파악해 시장에 신속하게 공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나이스신평과 서울신평은 크로스티폴트가 발생한 지난달 28일 ABCP의 신용등급과 상환능력이 불투명하다는 의미로 'C' 등급으로 하향조정했다.
ABCP 자산관리사인 한화투자증권과 최초 인수자인 이베스트투자증권 또한 ABCP 발행 3일 만인 지난달 11일 CERCG가 지급보증한 또 다른 채권의 부도가 난 사실을 알고서도 고지하지 않았다는 불완전판매 의혹을 받고 있다. 증권사들은 신평사의 신용등급을 토대로 관련 업무를 진행했다며 부실징후를 전혀 파악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김민수기자 minsu@dt.co.kr
해당 회사채 기초로 한 ABCP '날벼락'
신평사.증권사 등 직접 CERCG 면담키로
중국 에너지 기업인 중국국저에너지화공집단(이하 CERCG)의 자회사가 발행한 회사채 부도로 이를 기초자산으로 한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편입 펀드의 손실이 불가피해졌다. ABCP를 발행한 주관사와 신용평가사, 해당 ABCP를 산 금융사들은 4일 중국을 방문해 CERCG와의 면담을 갖고 대응방안을 들어볼 예정이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중국교통은행은 CERCG이 지급보증한 홍콩 자회사 CERCG캐피탈의 달러표시 채권에 크로스디폴트(동반 채무불이행)가 발생했다고 공시했다.
CERCG가 지급보증한 또 다른 자회사 CERCG오버시즈캐피탈의 3억5000만달러(한화 약 3800억원) 규모의 채권이 부도나면서 동반 채무불이행 상태가 된 것이다.
현재 이 회사채를 기초자산으로 국내에서 발행된 ABCP는 총 1650억원에 달한다.
한화투자증권과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지난달 8일 SPC '금정제십이차'를 통해 크로스디폴트가 발생한 CERCG캐피탈 회사채를 기초자산으로 ABCP 165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이후 현대차투자증권과 BNK투자증권, KB증권, 유안타증권, 신영증권, KTB자산운용, 골든브릿지자산운용 등이 ABCP를 인수했다.
ABCP 채권단과 발행주관사, 신용평가사는 4일 중국을 찾아 CERCG와의 면담을 갖기로 했다. 이들은 면담을 통해 자회사 부도 사태의 발생 경위와 CERCG의 지급보증 채무에 대한 대응 방안을 파악할 계획이다.
신용평가사는 CERCG를 제대로 평가하지 못해 ABCP에 대한 신용등급을 잘못 매겼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앞서 나이스신용평가와 서울신용평가는 CERCG를 중국의 공기업으로 분류하고 해당 ABCP에 각각 'A2'를 부여했다.
이같은 비난에 대해 신평사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나이스신평은 지난 1일 자료를 통해 "중국 공기업의 차이와 특성을 충분히 고려했다"며 "A2 등급 이상의 신용등급을 받았더라도 부도는 얼마든지 날 수 있다"고 해명했다. 이어 "다른 채권에 대한 CERCG의 지급보증이 왜 이뤄지지 않았는지가 문제의 핵심"이라며 "CERCG와 면담을 통해 향후 CERCG가 지급보증한 채무에 대한 대응 방안 등을 파악해 시장에 신속하게 공유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나이스신평과 서울신평은 크로스티폴트가 발생한 지난달 28일 ABCP의 신용등급과 상환능력이 불투명하다는 의미로 'C' 등급으로 하향조정했다.
ABCP 자산관리사인 한화투자증권과 최초 인수자인 이베스트투자증권 또한 ABCP 발행 3일 만인 지난달 11일 CERCG가 지급보증한 또 다른 채권의 부도가 난 사실을 알고서도 고지하지 않았다는 불완전판매 의혹을 받고 있다. 증권사들은 신평사의 신용등급을 토대로 관련 업무를 진행했다며 부실징후를 전혀 파악하지 못했다고 해명했다.
김민수기자 minsu@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