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하이닉스·마이크론 대상
시세조정 등 가격 담합 본격 조사
반독점국, 현지 사무실 들이닥쳐
자국산업 키우려 가격인하 압박

사진=연합
사진=연합

중국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미국 마이크론 등 세계 3대 메모리 반도체 제조사를 대상으로 '가격 담합'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중국이 최근 부쩍 오른 메모리반도체 가격 인하를 압박하는 동시, 자국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세계 주요 반도체 기업 견제에 본격 나선 것으로 해석된다.

중국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메모리 반도체 3사의 가격 담합 혐의 등에 대해 조사를 벌였다고 중국 21세기경제보도와 홍콩 명보가 3일 보도했다. 이들 매체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지난달 24일 미국 마이크론에 '웨탄'을 진행했다. 웨탄은 중국 당국이 감독 대상기관의 관계자를 불러 문제점을 지적하고 시정을 요구하는 면담을 말한다.

중국 상무부는 웨탄에서 지난 수 분기 동안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지나치게 많이 오른 것에 우려를 표명하고, 시장 지배적 지위를 남용해 공정경쟁을 해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달 31일에는 중국 국가시장감독총국 산하 반독점국 조사관들이 베이징, 상하이, 선전 등에 있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의 사무실에 갑자기 들이닥쳐 반독점 조사를 벌였다.

반독점국은 지난 3월 국가발전개혁위원회 가격조사국, 상무부 반독점국, 공상총국 반독점국 등이 합쳐져 세워진 막강한 시장 감독기구다. 반독점국이 대대적 조사에 나선 것은 출범 이후 처음이다. 이들은 메모리 반도체 가격 급등 배경에 가격 담합 등을 통한 시세 조정이 있었는지, 반도체 공급 부족을 악용해 끼워팔기 등 위법 행위가 있었는지 등을 조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는 이번 조사가 메모리 반도체 가격 급등으로 인한 중국 수요업체의 불만이 촉발한 것으로 분석했다. 실제 작년 말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들은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에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계속 오르는 데다 공급이 원활하지 않다"며 불만을 호소했다. 발개위는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에 가격 인상 자제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중국 상무부는 지난해 삼성전자 등에 '웨탄'을 진행하며 가격 인하 압박을 가했다.

이번 독점 당국 조사는 미국의 중국 통신업체 ZTE 제재 후 '반도체 굴기(우뚝 섬)'에 박차를 가하는 중국이 해외 메모리반도체 업체를 견제하려는 목적이 크다는 분석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4월 26일 낸드플래시 메모리반도체 양산을 추진 중인 칭화유니 계열 창장메모리(YMTC)의 자회사 우한신신을 방문해 핵심기술 국산화를 강조하기도 했다. 또 중국 정부는 지난달 발표한 '2019년 중앙 국가기관 IT 제품 구매계획 공고'에서 자국산 반도체 서버를 구매하겠다고 명시하는 등 자국 산업 육성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한편 중국 정부는 일본 도시바 메모리 인수와 관련해 지난해 9월 한·미·일 연합 컨소시엄의 인수 승인 요청에 대해서도 8개월 동안 결론을 내리지 않다가 최근에서야 승인하는 등 한국과 미국 반도체 산업을 견제하는 모습을 보였다.

박정일기자 comja77@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박정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