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기업 인증 개선도 필요

소셜벤처 생태계를 키우려면 유망 소셜벤처 발굴·투자시스템과 사회적기업 인증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소기업연구원이 27일 내놓은 '국내 소셜벤처 생태계 진단과 해외 정책사례'에서 최세경 연구위원은 "소셜벤처에 투자하는 임팩트투자에 대해 세제혜택을 줘서 투자를 활성화하고, 공공 중개지원기관을 설립하고 민간 중개지원기관을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정부가 사회적경제와 소셜벤처 육성 정책을 펴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관련 창업활동이 부족하고 소셜벤처의 주요 자금원인 임팩트투자 시장규모가 작다. 최 연구위원에 따르면 소셜벤처가 주로 활동하는 사회적 목적 사업 분야의 창업 초기활동이 극히 저조하다.

GEM(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창업 초기활동 중 건강·교육·사회서비스업 비중은 13.6%에 그친다. 미국(19.7%), 영국(19.4%), 독일(29.0%) 등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또 소셜벤처의 중요한 자금원인 임팩트투자 국내 시장규모는 539억원 수준에 불과하다. 15조원을 웃도는 세계 시장의 0.35%에 불과하다. 영국의 경우 약 2968억원 규모로, 우리의 6배에 이른다. 임팩트투자를 소셜벤처에 중개해주는 민간 임팩트투자 중개지원기관은 20개 정도인데, 대부분 자금규모가 작은 법인형 개인엔젤이다.

영국, 독일, 미국 등 주요 국가들과 달리 국내에만 있는 사회적기업 인증제도 역시 국내 소셜벤처 생태계 형성을 늦추는 원인으로 지목됐다. 국내에서는 엄격한 사회적기업 인증을 받아야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세계 각국 정부는 임팩트투자 시장을 키우기 위해 다양한 자금을 조성해 공급하고 있다. 민간 임팩트투자 중개지원기관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다. 영국은 임팩트투자도매은행 빅소사이어티캐피털에서 6억파운드를 조성해 민간투자기관에 시드머니로 투자하고, 투자계약준비펀드를 통해 소셜벤처의 임팩트투자 유치활동을 돕는다. 미국과 호주, 독일도 관련 펀드를 키우고 있다.

박종진기자 truth@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