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우리 전자정부 노하우를 베트남을 포함한 아세안 국가로 전파하는 데 본격적으로 나선다.

행정안전부는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부겸 장관과 마이 띠엔 중 베트남 총리실 장관이 '전자정부 협력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력은 지난 3월 문재인 대통령의 베트남 국빈 방문 시 응우웬 쑤언 푹 총리가 요청한 전자정부협력 후속조치로 이뤄졌다. 행안부는 지난 2015년 베트남 정보통신부와 전자정부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으나 그동안 현지의 전자정부 총괄부처가 총리실로 격상됨에 따라 다시 협약을 체결했다. 베트남은 총리실 장관을 단장으로 5명의 국장과 민간기업 대표 등 모두 20명의 대표단을 파견했다. 이들은 우리 전자정부 법·제도 인프라 정비와 국가데이터센터 구축, 중앙·지방정부 간의 전자문서 유통, 중앙·지방의 데이터베이스(DB) 통합과 표준화, 사이버 보안 관련 경험 등에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열린 전자정부 협력회의에서 정윤기 행안부 전자정부국장은 베트남 정부가 협력을 원하는 분야의 정책과 시스템, 서비스 현황을 발표했다. 이어 베트남 대표단이 궁금해하는 사항에 대해 질의응답과 토론을 진행했다. 행안부는 전자정부 구축 기술을 보유한 IT 중소기업과 자문단의 베트남 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특히 베트남을 시작으로 주변 국가인 캄보디아, 라오스,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 아세안 국가로 전자정부 진출폭을 넓힌다는 전략이다. 신남방정책이 전자정부로 정부 혁신과 업무 효율을 높이려는 아세안 국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게 행안부의 전망이다.

김부겸 행안부 장관은 "베트남은 신남방정책의 중심국가로, 양해각서를 통해 전자정부 해외진출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두 나라의 협력이 캄보디아 등 다른 아세안 국가와의 협력의 모범사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허우영기자 yenny@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