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최선희 "회담 재고" 으름장 폼페이오 "협상장 떠날 수 있어" 이번 주말이 최대 고비 분수령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23일(현지시간) 미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 북한과의 협상과 관련한 발언하고 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방북 당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비핵화 보상으로 경제적 지원과 체제안전 보장, 평화협정 등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기자들을 만나 발언하고 있다. 그는 "싱가포르(회담)에 관해 다음 주 알게 될 것"이라며 "언젠가 만남이 확실히 있을 것이다. 그 만남은 충분히 6월 12일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6·12 미북정상회담을 2주 남짓 앞두고 미북 간 힘겨루기가 또다시 시작됐다. 양측 모두 '판'을 깨려는 의도는 없어 보이지만 비핵화 방식을 두고 격돌하면서 이번 주말 싱가포르에서 열릴 예정인 미북 사전 실무협의도 난항이 예상된다.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은 24일 성명을 통해 "미국이 계속 불법무도하게 나오면 조미수뇌회담 재고려 문제를 최고 지도부에 제기할 것"이라고 으름장을 놨다. 최 부상은 특히 "미국 부통령 마이크 펜스는 폭스와의 인터뷰에서 북조선이 리비아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느니, 미국이 요구하는 것은 완전히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라느니 뭐니 하고 횡설수설하며 주제넘게 놀아댔다"며 미국의 'CVID' 원칙과 리비아식 해법을 정면 비판했다. 북한이 백악관 관료를 직접 겨냥한 것은 지난 16일 김계관 외무상 제1부상이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을 비판한 데 이어 두 번째다. 당시에도 북한은 리비아식 해법을 문제 삼았고 미북 협상은 교착상태에 빠졌었다. 이후 백악관이 나서 '트럼프식' 해법을 제시하면서 사태 진화에 나서기도 했다.
미국도 '선 핵폐기, 후 보상' 원칙을 재천명하며 북한을 압박하고 있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23일(현지시간) 하원 외교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북한이 경제지원·체제보장·평화협정 등 3대 사항을 요구했다"면서 "CVID를 향한 북한의 믿을 만한 조치가 취해지기 전까지는 우리의 자세를 바꾸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또 "나쁜 합의는 선택지가 아니다. 올바른 거래가 협상 테이블 위에 있지 않다면 우리는 정중하게 협상장을 떠날 것"이라고도 했다. 이에 따라 이번 주말 미북 고위급 접촉 결과에 따라 미북정상회담과 향후 북핵 협상의 운명이 갈릴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2주 전 싱가포르에서 개최하기로 했던 실무회담에 불참했었다. 외교·안보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번 실무 접촉에서 △한반도 비핵화의 대상·범위 △핵 폐기 방식 △북한 체제보장·미북 수교·경제적 보상 등을 최종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풍계리 핵 실험장 폐기 행사의 결과도 미북정상회담의 성공을 결정지을 변수가 될 전망이다. 행사에는 외부 전문가들 없이 취재진만 초청한 상태로 현재로선 핵 폐기 행사가 북한 비핵화 의지의 가늠자가 될지, 요식행위에 그칠지 장담하기 어렵다.
청와대는 미북 고위급 접촉결과 와 풍계리 행사를 지켜본 후 핫라인 가동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