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유입 감염병인 유비저 진단 참조균주로 활용 기대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2003년 국내 최초로 분리된 '유비저균 H0901'에 대한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결과가 담긴 논문이 미국 미생물학회(ASM)에서 발간하는 '게놈 어나운스먼트' 인터넷판에 게재됐다고 23일 밝혔다.
유비저는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감염된 후 국내로 유입된 환자가 매년 꾸준히 발생되고 있는 질병으로, 2010년 제4군 법정감염병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특히 이번 논문에서 분석된 유비저균 H0901은 말레이시아에서 감염된 후 국내 유입된 환자로부터 최초 분리됐다. 해당 균주는 두 개의 유전체로 구성돼 있고, 약 7303개의 유전자가 존재한다.
이기은 질병관리본부 고위험병원체분석과 과장은 "동남아 방문 여행객의 유비저 감염에 대한 주의를 당부한다"며 "유비저균 H0901은 향후 국내 유비저 진단 참조 균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지섭기자 cloud50@dt.co.kr
질병관리본부는 지난 2003년 국내 최초로 분리된 '유비저균 H0901'에 대한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결과가 담긴 논문이 미국 미생물학회(ASM)에서 발간하는 '게놈 어나운스먼트' 인터넷판에 게재됐다고 23일 밝혔다.
유비저는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감염된 후 국내로 유입된 환자가 매년 꾸준히 발생되고 있는 질병으로, 2010년 제4군 법정감염병으로 지정·관리되고 있다.
특히 이번 논문에서 분석된 유비저균 H0901은 말레이시아에서 감염된 후 국내 유입된 환자로부터 최초 분리됐다. 해당 균주는 두 개의 유전체로 구성돼 있고, 약 7303개의 유전자가 존재한다.
이기은 질병관리본부 고위험병원체분석과 과장은 "동남아 방문 여행객의 유비저 감염에 대한 주의를 당부한다"며 "유비저균 H0901은 향후 국내 유비저 진단 참조 균주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지섭기자 cloud50@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