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타임스 김은 기자] 삼성디스플레이가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분야의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미래 성장동력으로 불리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제품을 대거 선보인다고 22일 밝혔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2일(현지시간) 미국 LA 컨벤션센터에서 국제정보디스플레이학회가 주최하는 'SID 2018' 전시회에 참가해 롤러블 정보안내디스플레이(CID), S-커브드 CID를 비롯해 운전자의 안전을 고려한 화면이 깨지지 않는 언브레이커블(Unbreakable) 디스플레이와 입체형 디지털 계기판에 적용할 수 있는 무안경 3D 디스플레이까지 미래 자동차의 핵심부품이 될 차량용 플렉시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대거 선보인다.

롤러블 CID는 삼성디스플레이의 플렉시블 OLED 기술력이 집약된 제품으로, 롤링 정도에 따라 화면의 크기를 최소 9인치에서 11.8인치, 최대 14인치까지 3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또 터치만으로 내비게이션, 음악 감상, 웹서핑 등 다양한 기능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사고 발생 시에 운전자가 2차 피해를 입지 않도록 설계된 6.22인치 언브레이커블 스티어링휠 디스플레이는 깨지지 않는 플렉시블 OLED 기판에 플라스틱 소재의 차세대 커버 윈도우를 장착했다. 이 제품은 자동차 내장재의 안정성 기준에 맞춰 실시한 충돌테스트에서도 손상 없이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이와 함께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소개된 '아쿠아 센서'는 '수중 멀티 압력 터치센서' 기술로 방수 기능을 갖춘 스마트폰에 적용하면 물 속에서도 자유롭게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차세대 스마트폰 사운드 기술인 'SoD(Sound on Display)'는 디스플레이에 진동장치를 적용해 패널 진동을 통해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아울러 현재 개발 중인 8K 해상도의 65인치 'QD 글라스' 제품도 선보일 예정이다. QD 글라스는 백라이트에 퀀텀닷 시트(Sheet)를 부착하는 기존의 방식과 달리 유리 소재의 확산판(백라이트의 빛을 고르게 확산시켜 주는 광학부품)에 바로 퀀텀닷 물질을 도포해 색 재현율을 높이는 기술이다.

김은기자 silverkim@dt.co.kr

삼성디스플레이가 22일(현지시간) 미국에서 개막하는 'SID 2018' 전시회에서 최소 9인치, 최대 14인치까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롤러블 정보안내디스플레이(CID)를 선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삼성디스플레이가 22일(현지시간) 미국에서 개막하는 'SID 2018' 전시회에서 최소 9인치, 최대 14인치까지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롤러블 정보안내디스플레이(CID)를 선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삼성디스플레이가 22일(현지시간) 미국에서 개막하는 'SID 2018' 전시회에서 깨지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의 차세대 커버 윈도우를 부착한 스티어링 휠 디스플레이를 선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삼성디스플레이가 22일(현지시간) 미국에서 개막하는 'SID 2018' 전시회에서 깨지지 않는 플라스틱 소재의 차세대 커버 윈도우를 부착한 스티어링 휠 디스플레이를 선보인다. <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