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 재건축 단지들이 부담금, 지방선거 등으로 휘청거리고 있다. 부담금이 많이 나올 것으로 우려되는 단지는 조합원 간 갈등이 심화되며 사업 중단까지 검토되고 있다.

20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당장 시공사 선정 후 관리처분인가를 신청해야 하는 반포 3주구는 부담금 문제로 조합원과 조합 내부 갈등이 표출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근 다른 재건축 단지들이 부담금을 피하기 위해 지난해 말 서둘러 관리처분인가를 신청한 것과 달리 이 단지는 조합 측이 자체 산출한 부담금이 6500만원 수준에 그친다고 보고 무리하게 행정절차를 밟지 않았다.

그러나 반포 현대의 부담금 산출 기준을 적용할 경우 가구당 부담금이 3억∼4억원에 달할 것이라는 소문이 돌면서 충격에 휩싸였다. 이 단지는 현재 시공사 선정을 늦추고 있다. 시공사를 선정하면 한 달 내 조합이 자체 산출한 부담금 예정액을 구청에 신고해야 하기 때문이다.

역시 시공사 선정을 앞둔 대치 쌍용2차도 고민 중이다. 지난달 말 시공사 입찰을 마감한 만큼 일단 예정대로 다음 달 2일 총회에서 현대건설과 대우건설을 놓고 시공사를 선정한 뒤 강남구청으로부터 재건축 부담금 예정액을 받아보고 금액이 예상보다 높으면 조합원 총회에서 설계·마감 변경안을 포함한 여러 대안을 재논의하기로 했다.

신반포15차(한신15차)는 이달 말 시공사 교체 안건을 놓고 조합원 임시총회를 열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난해 대우건설을 시공사로 선정하고 관리처분인가까지 신청했는데 최근 시공사와 임대주택 문제, 무상 사업비 조달 문제 등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잠실 주공5단지는 지방선거 때문에 사업 일정이 지연되고 있다. 올해 3월 말 서울시가 이 아파트의 국제현상설계공모 결과를 발표하면 4월 건축허가를 신청한다는 계획이었으나 서울시가 내달 지방선거를 앞두고 발표를 미루고 있다. 재건축 정비계획안도 수립하지 못한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최근 강남구청을 통해 정비계획 수정안을 제출했다. 서울시는 금주 중 관련 서류를 확인해 시 도시계획위원회에 상정한다는 방침이지만 서울시와 조합의 견해차가 크고 지방선거까지 앞두고 있어 통과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수년간 재건축 사업이 중단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 원장은 "올해부터 재건축 부담금 등의 문제로 신규 사업이 어려워지면 당장 5년 뒤부터 서울지역의 주택 신규 공급에 차질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말했다.박상길기자 sweatsk@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박상길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