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종업원 송환·풍계리 기자단 거부
협상력 강화 의도… 미국 겨냥한 듯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주재한 가운데 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1차 확대회의가 열렸다고 18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주재한 가운데 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1차 확대회의가 열렸다고 18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북한이 지난 주말 내내 대남 압박 수위를 한껏 끌어올렸다. 오는 22일(현지시간) 한미정상회담, 다음달 12일 미북정상회담 개최를 앞두고 협상력을 최대한 끌어올리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북한은 북한 여종업원들의 송환을 요청했고,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행사를 취재하기 위한 방북 기자단 명단 접수를 거부했다.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을 통해 한국 정부를 강도 높게 비난하기도 했다.

북한은 대남 갈등 구도를 조성하고 있지만 미북정상회담 취소 등 극단적인 선택은 피하고 있다. 최근 존 볼턴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리비아 모델'을 북한에 적용해야 한다고 밝히는 등 비핵화 압박 수위를 대폭 높이자 한국 정부를 지렛대로 삼아 판을 흔들어보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잇달아 방중해 시진핑 국가주석을 만난 데 이어 한국 정부를 압박함으로써 미국에 대한 간접적이지만 효과적인 '견제구'를 잇달아 던지고 있는 셈이다.

북한은 지난 19일 북한 여종업원들의 송환을 요청했다. 중국의 류경식당에서 일했던 이들 여종업원들이 지난 2016년 집단 탈북한 것을 놓고 탈북 당시부터 기획 탈북 의혹이 제기됐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북한 적십자회 중앙위원회 대변인은 이날 조선중앙통신 기자와의 문답에서 "우리 여성공민들을 지체 없이 가족의 품으로 돌려보내는 것으로써 북남관계 개선의 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북한은 지난해부터 이들의 송환을 요구했고, 지난 1월 열린 남북고위급회담에서도 같은 주장을 했다.

기획탈북 의혹이 한국 내에서 불거진 만큼 한국의 내부 갈등을 유도할 수 있는 쟁점인 데다, 한국 정부를 압박하기에 효율적인 압박 카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추후 남북 당국 간 회담 또는 적십자회담 등이 열릴 경우 이들의 송환 문제가 최대 쟁점이 될 전망이다.

앞서 지난 17일 리선권 위원장은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북남고위급회담을 중지시킨 엄중한 사태가 해결되지 않는 한 남조선 현 정권과 다시 마주앉는 일은 쉽게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특히 리 위원장은 한국 정부가 남북고위급회담 무산에 유감을 표명한 것에 대해 '철면피' '파렴치' '무지무능한 집단' 등 격한 표현을 사용하며 비난하기도 했다.

이호승기자 yos547@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