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무릎반월상연골파열이 있다.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위치해 체중을 전달하고 흡수하며, 관절을 안정시키는 쿠션 역할을 하는 반월상연골판이 찢어지는 질환이다. 비교적 젊은 층에서 나타나기 쉬운 무릎 손상으로 축구나 농구 등 다양한 운동 중 갑작스러운 회전력 등에 의한 충격으로 발생하는 증상이다. 중장년층의 경우 연골 노화로 인해 별다른 외상이 없어도 쉽게 찢어질 수 있다.
무릎반월상연골파열의 주요 증상은 무릎 통증과 함께 부종이나 무릎에서 무언가 걸리는 듯한 느낌이 들고 무릎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 잠김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또한 움직일 때 무릎에서 소리가 나고 힘없이 꺾이는 경우도 생긴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 별다른 조치 없이도 고통이 줄어들기도 하여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이를 방치할 경우 관절의 조기 퇴행성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다. 반월상연골에 손상이 생기면 반월상 연골 자체에 흡수되는 충격의 완충작용이 사라지고 관절접촉면이 감소하는데, 이는 곧 관절연골의 스트레스를 높여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될 가능성을 높인다.
따라서, 외상 이후 무릎 부위 통증이 오래 지속되는 등의 관련 증상이 의심된다면 대수롭게 여기지 말고 병원을 찾아 진단 및 치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특히 젊은 층의 경우 이런 증상을 일시적인 근육통이라 생각하고 방치해 조기 진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증상 초기에는 물리치료나 운동, 체중조절, 주사치료 등의 비수술적 치료 방법으로도 증상 호전이 가능하므로 되도록 빠른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증상의 정도가 심하거나 지속적인 보존적 치료에도 별다른 효과가 없는 경우 관절 내시경수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시행해야 한다.
이에 대해 창원제일종합병원 정형외과 원호연 진료부장은 "갑작스럽게 운동을 할 경우 무릎 관절에 큰 부담을 줘 무릎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운동 전후로 스트레칭을 충분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무릎반월상연골손상이 발생할 경우 연골판에 피가 거의 통하지 않아 자연치유는 거의 불가능해 반드시 전문 병원에서 진단을 받고 치료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내시경수술은 관절 내부의 정확한 진단과 동시에 수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지만, 수술 과정에서의 조직손상이나 실패증후군을 무시할 수 없는 난이도가 높은 치료방법이다. 따라서 관련 경험과 노하우가 풍부한 전문 의료진에게 시술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sysy3445@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