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인
취소
[속보] 오산 가장교차로 고가도로 옹벽 붕괴…“차량 2대 깔려”
전통 옷 입고 중국 간 젠슨 황 “친구들과 손잡고 AI 시대 함께 번영”
친환경 젊은 농부 지원한다…렉서스코리아, 지속가능성 식문화 확산
‘1호 쇄신 지목’ 송언석 “오해” 장동혁 “윤희숙 오발탄” 윤상현 “날 부르라” 나경원 “…”
삼성·LG, ‘올해의 에너지위너상’서 나란히 수상 휩쓸어
“겸직 아니냐” 의혹에…정성호 “기한 내 변호사 모두 정리했다”
2025년 7월 16일 (수)
로그인
회원가입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금융·증권
부동산
경제
산업
IT바이오
정치
사회
국제
피플
오피니언
문화
[속보] 오산 가장교차로 고가도로 옹벽 붕괴…“차량 2대 깔려”
전통 옷 입고 중국 간 젠슨 황 “친구들과 손잡고 AI 시대 함께 번영”
친환경 젊은 농부 지원한다…렉서스코리아, 지속가능성 식문화 확산
‘1호 쇄신 지목’ 송언석 “오해” 장동혁 “윤희숙 오발탄” 윤상현 “날 부르라” 나경원 “…”
삼성·LG, ‘올해의 에너지위너상’서 나란히 수상 휩쓸어
“겸직 아니냐” 의혹에…정성호 “기한 내 변호사 모두 정리했다”
2025년 7월 16일 (수)
로그인
회원가입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중부발전, 참여형 변화관리 워크숍
어떤 기사를 찾으시나요?
# “전세사고 줄어도 피해는 ing”…HUG 변제액 ‘1조’ 돌파
# 이재용 대법원 선고 ‘D-1’, 10년 해묵은 사법 리스크 털까
# 대통령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 부산 개최 두고 “역사적 순간 될 것”
# 이선균 협박해 3억 뜯은 女실장, 2심서 형량 늘어…“반성하는지 의문”
# 쿠팡 물류현장 찾은 김병기 “폭염은 재난, 선제적 대응 필요”
# 주한미군 現규모 유지, 美국방수권법안 하원 군사위 통과
# “따뜻한 엄마” 강선우 두둔한 정청래…손수조 “정신 나간 정치인” 직격탄
# 배우 최강희 다니던 ‘그 헬스장’, 전세 사기에 결국 폐업
# 제주 고교생, 카페 여성화장실서 몰카…다수 동영상 발견
많이 본 뉴스
[속보] 내란특검, 尹 3차 강제구인 시도…불발시 ‘조사없이 기소’ 무게
尹 전 대통령, ‘부정선거 주장’ 모스탄 접견 불발될 듯
[단독] 아모레 장녀 서민정氏 ‘퇴사설’ 무성…차녀 입사 맞물리며 승계구도 변화 관측도
검색창 닫기
금융·증권
일반
증권
경제
부동산
일반
분양
경제
일반
산업
일반
유통·생활경제
자동차·시승기
재계
중기·벤처
IT바이오
일반
통신·뉴미디어
모바일
컴퓨터
중기·스타트업
과학
바이오·헬스케어
게임·리뷰
보안·해킹
인터넷·SNS
IT·소프트웨어
정치
일반
국회·정당
북한·안보
국방·외교
행정
대통령실
사회
일반
교육
사건·사고
검찰·법조
환경
행정
지방
건강
노동
국제
일반
아시아·호주
유럽
미국·중남미
국제경제
중동·아프리카
국제금융
피플
일반
인사
동정
부음
국내인물
국외인물
사고·알림
오피니언
일반
사설
칼럼
데스크 칼럼
시론
포럼
기고
문화
일반
방송·연예
여행·레저
책
영화OTT
공연·전시
스포츠·e스포츠
음식·맛집
패션·뷰티
종교
날씨
최신뉴스
대학소식
동영상
칼럼니스트
디따 뉴스구독
My디따뉴스
많이본 뉴스
이슈NOW
연재
기자
투표
회사소개
고충처리
신문구독
기사제보
콘텐츠제휴
광고안내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마이페이지
중부발전, 참여형 변화관리 워크숍
산업
일반
중부발전, 참여형 변화관리 워크숍
입력 2018-05-13 18:00
20면
0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
읽기모드
음성지원
다크모드
폰트크기
가
가
가
가
가
가
북마크
공유하기
프린트
기사반응
지난 11일 서울 충정로 신라스테이 호텔에서 한국중부발전이 개최한 참여형 변화관리 워크숍에 참석한 청년이사·기업문화 지식공동체 리더 40여명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중부발전 제공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획] 반도체 ‘관세스톰’ 보름 내 닥친다
[기획] 트럼프 127조 투자… “미국 AI, 중국에 추월 허용 안해”
尹 구속적부심 18일 오전 열린다…尹 출석여부 검토
“자녀 필요하지만 출산은 글쎄”…韓 여성 출산의향 최저 수준
랜섬웨어 대응 강화…파수, 악성메일 모의훈련에 ‘영상 교육’ 추가
LG이노텍, 전장통신사업 1.5조 규모로 육성…‘차세대 디지털키’ 선봉
기사 추천
추천해요
0
좋아요
0
감동이에요
0
화나요
0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