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공업 절반 이상 5개월째 하락
상용 근로자수 3분기 연속 감소
제조업 체감경기가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추락하면서, 과거 고액 연봉을 받던 양질의 제조업 일자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특히 자동차, 조선, 철강 업종의 경기후퇴로 해당 분야의 근로자가 큰폭으로 줄어드는 등 생산인력 감축이 나타나고 있다.
13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제조업 주력 산업의 생산 감소세가 확산되면서 광공업 가운데 자동차, 철강 등 무려 절반 이상의 업종이 5개월째 하락세를 기록했다.
3월 자동차 생산은 전년 동기대비 12.5% 줄었는데, 지난해 10월(-17.3% )부터 11월(-6.5%), 12월(-29.2%) 그리고 올해 2월(-19.6%)까지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올해 1월 1.8% 증가해 반짝 회복세를 기록하는 듯 했지만, 전체적인 시장 전망은 어둡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조선업은 2013년 5월(-11.9%) 이후 5년 가까이 감소행진 중이다. 올해 1월(-9.2%)과 2월(-32.2%) 그리고 3월(-24.6%)의 지표는 그야말로 처참한 상황이다. 철강제조업 생산 역시 지난해 11월(-5.5%) 이후 다섯 달 연속 줄었다.
실제 지난 3월 광공업 전체 75개 업종 가운데 생산이 전달보다 감소한 업종은 55개, 증가한 업종은 20개 뿐이다. 생산증가 업종과 생산감소 업종의 비율을 뜻하는 생산확산지수는 26.7에 그쳤다. 이는 2014년 10월(25.3) 이후 3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제조업 생산이 이처럼 역주행을 이어가면서 제조업 고용시장도 최악의 상황이다. 통계청의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를 보면 1분기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에 재직 중인 상용근로자 수는 제조업 분야에서 세 분기 연속 감소했다. 제조업 상용근로자 수는 지난해 3분기 2394명 감소했고, 4분기 9257명에 이어 1분기에도 2384명이 줄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지난 2009년 3분기 이후, 제조업 상용 근로자 수가 감소한 것은 지난해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가 처음이다.
정부도 자동차, 철강 등 주력산업의 부진이 고용시장 악화로 연결되지 않을지 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은 최근 '경제동향 5월호'에서 "광공업 생산이 감소를 지속하는 등 제조업 경기 개선 속도가 조정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제조산업의 위기를 직시하고 산업 단위의 구조조정과 함께 업종별 맞춤형 지원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세종=권대경기자 kwon213@dt.co.kr
상용 근로자수 3분기 연속 감소
제조업 체감경기가 글로벌 금융위기 수준으로 추락하면서, 과거 고액 연봉을 받던 양질의 제조업 일자리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특히 자동차, 조선, 철강 업종의 경기후퇴로 해당 분야의 근로자가 큰폭으로 줄어드는 등 생산인력 감축이 나타나고 있다.
13일 기획재정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제조업 주력 산업의 생산 감소세가 확산되면서 광공업 가운데 자동차, 철강 등 무려 절반 이상의 업종이 5개월째 하락세를 기록했다.
3월 자동차 생산은 전년 동기대비 12.5% 줄었는데, 지난해 10월(-17.3% )부터 11월(-6.5%), 12월(-29.2%) 그리고 올해 2월(-19.6%)까지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올해 1월 1.8% 증가해 반짝 회복세를 기록하는 듯 했지만, 전체적인 시장 전망은 어둡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조선업은 2013년 5월(-11.9%) 이후 5년 가까이 감소행진 중이다. 올해 1월(-9.2%)과 2월(-32.2%) 그리고 3월(-24.6%)의 지표는 그야말로 처참한 상황이다. 철강제조업 생산 역시 지난해 11월(-5.5%) 이후 다섯 달 연속 줄었다.
실제 지난 3월 광공업 전체 75개 업종 가운데 생산이 전달보다 감소한 업종은 55개, 증가한 업종은 20개 뿐이다. 생산증가 업종과 생산감소 업종의 비율을 뜻하는 생산확산지수는 26.7에 그쳤다. 이는 2014년 10월(25.3) 이후 3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제조업 생산이 이처럼 역주행을 이어가면서 제조업 고용시장도 최악의 상황이다. 통계청의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를 보면 1분기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에 재직 중인 상용근로자 수는 제조업 분야에서 세 분기 연속 감소했다. 제조업 상용근로자 수는 지난해 3분기 2394명 감소했고, 4분기 9257명에 이어 1분기에도 2384명이 줄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지난 2009년 3분기 이후, 제조업 상용 근로자 수가 감소한 것은 지난해 3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가 처음이다.
정부도 자동차, 철강 등 주력산업의 부진이 고용시장 악화로 연결되지 않을지 큰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은 최근 '경제동향 5월호'에서 "광공업 생산이 감소를 지속하는 등 제조업 경기 개선 속도가 조정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제조산업의 위기를 직시하고 산업 단위의 구조조정과 함께 업종별 맞춤형 지원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세종=권대경기자 kwon213@dt.co.kr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주요뉴스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